올해 들어 완성차에 이어 중고차 시장에서도 친환경차인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가 큰 인기를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의 국토교통부 등록 통계 분석에 따르면 지난 1∼8월 중고 승용차 거래 대수는 총 129만7796대로 집계됐다. 연료별로는 휘발유차와 경유차가 각각 73만6446대, 37만8656대씩 팔리며 중고차 판매 1∼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판매량은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5.2%, 14.1% 위축됐다.
반면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는 각각 3만7205대, 9897대가 거래됐다. 지난해 동기 대비 13.2%, 53.3% 증가한 수치다. 특히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모델이 최근 2∼3년 집중적으로 출시돼 중고차 매물이 많지 않은 것을 고려하면 높은 증가율이다. 완성차에 이어 중고차 시장에서도 친환경차 선호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완성차 시장에서는 ‘차박'(차+숙박) 인기 등의 여파로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판매 비중이 크게 늘고 있지만, 중고차 시장에서는 여전히 세단이 강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중고차 시장에서 세단은 총 64만8948대가 팔리며 50.0%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SUV는 29만9520대(23.1%)가 판매되며 뒤를 이었지만, 판매량은 세단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쳤다.
또 해외에서 인기가 높은 왜건은 판매 비중이 가장 낮은 0.2%에 그치며 완성차에 이어 중고차 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이 외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산 중고차 중 가장 많이 거래된 차종은 기아의 모닝 TA(2만9802대)였다. 이어 현대차 그랜저 HG(2만9324대), 쉐보레 스파크(2만6250대), 현대차 그랜저 IG(2만6145), 기아 레이(1만9154대) 등의 순이었다.
수입 중고차 중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의 E클래스 5세대(1만4516대)가 가장 인기가 높았다. BMW 5시리즈 6세대(9034대), BMW 5시리즈 7세대(8767대), 벤츠 E클래스 4세대(6881대), 벤츠 S클래스 6세대(6124대) 등이 뒤를 이었다.
이세정 기자 sj@
관련기사
제네시스, 내수 점유율 10% 육박…G80 모델이 절반 2022.09.09 테슬라, 수입 전기차 시장 점유율 ‘뚝’…벤츠·BMW ‘추격’ 거세다 2022.07.17
- “‘위험 외주화’ 대기업 2년8개월간 산재보험료 9060억원 할인”
- 삼성전자 ‘4만전자’ 위기···개미들, 한달간 2조원 사들였다
- 한전·한수원·강원랜드 5년간 벌칙성 부과금 1천억 냈다
- “기재부 산하 4개 공공기관 185명 감축 추진···조폐공사 118명↓”
- “법인세법 개정안, 지주회사 정책 후퇴···공정위도 반대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