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부산 사하구 한 레미콘 공장에 레미콘 트럭들이 주차돼 있다. 레미콘 원료인 시멘트를 옮기는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차량 노동자들이 화물연대 파업에 들어가면서 레미콘 공급에 차질을 빚고 있다. /사진=뉴스1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 총파업 일주일이 지난 가운데 레미콘 운반차량 기사들이 운송비 인상과 자신들을 노조로 인정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레미콘 업계는 운송료 인상 요구가 과도하고 노조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갈등 해결에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전국레미콘운송총연합회(이하 전운련)는 수도권 레미콘 제조사와 운송료 협상에 실패하면 다음달 1일 운송거부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전운련은 수도권 레미콘 운반차량 1만여대 중 9000여대 차주들이 소속된 단체다.

전운련은 △회당 운송료 27%인상(5만6000원→7만1000원) △요소수 100%지급(월 6만원 상당) △명절 상여금 100만원 △근로시간 면제수당(타임오프, 전운련 상조 회장수당) 100만원 등을 요구안으로 제시했다.

김진회 전운련 위원장은 “지난달 말부터 4차례 협상을 요구했지만 제조사 단체에서 아무런 답이 없다. 운송거부 이외에 별다른 대책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레미콘 제조사들은 전운련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통상 레미콘 운반차량 운송료는 매년 6~7월 레미콘 제조사와 운반차주 간 개별 협상을 벌이는데, 올해 전운련은 단체협상(단협)을 요구하고 있다. 운송료 인상 뿐만 아니라 노조인정 여부도 문제다. 명절 상여금과 근로시간 면제수당 등은 사내노조로 인정해야 지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레미콘 제조업계는 운수 업자와 제조사 간 개별 협상이 아닌 단체협상은 협상 테이블 자체가 열리기 어렵다고 평가한다. 개인 사업자를 노조로 인정하게 되면 중소 레미콘 업체들은 막대한 인건비 부담을 질 수밖에 없다는 이유다.

전운련은 이달 27일 수도권 레미콘 제조사와 운반차주 사이의 노동위원회 조정결과를 토대로 28일 찬반투표를 진행해 운송거부 여부를 결정한다. 운송거부가 확정되면 수도권 건설현장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최유빈 기자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