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누리호(KSLV-II) 발사에 성공하면서 차세대 우주 산업에도 관심이 모인다. 정부는 6세대 이동통신(6G) 등 첨단 산업 발전 가능성을 토대로 적극적인 우주 산업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윤석열 정부는 ‘세계 7대 우주강국 도약’을 목표로 제시했다. 미래 우주 분야 핵심 경쟁력 확보를 위해 차세대 발사체,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등의 기술을 확보하고 공공기관이 확보한 우주 관련 기술의 민간 이전 등에서 나설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한국형 항공우주국(나사·NASA)을 목표로 경남 사천에 항공우주청을 설립할 계획이다. 항공우주청은 국방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위사업청, 항공우주연구원 등 각 부처에 흩어진 우주 정책 업무를 모아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게 되는 우주 산업 전담기구다. 항공우주청이 설립되면 차세대 발사체 개발에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달 탐사선 발사, 달 착륙선 개발, 아르테미스 계획 참여 등 우주 개발 선진국들과 공동 협력을 통해 국내외 우주 개척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계획이서다.
민간 기업의 우주 산업 참여 기회를 넓히기 위한 ‘우주개발진흥법 개정안’도 지난 7일 국무회의에서 통과 됐다. ▲우주개발 기반 시설 확충 및 개방 확대 ▲우주개발 사업에 계약 방식 도입 ▲우주 신기술 지정 및 기술이전 촉진 ▲우주분야 인력양성 및 창업 촉진 등의 내용이 담겼다.
정부는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의해 ‘우주산업클러스터’를 지정에 나설 방침이다.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한 기술을 우주 신기술로 지정하고, 우주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 등의 지원안도 마련한다.
우주 산업은 최근 수익 창출이 가능한 사업으로 인식돼 많은 기업들이 민간 우주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드론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융합하는 우주 산업은 인공위성과 발사체(로켓), 우주 관광, 항공 모빌리티, 우주 인터넷, 초정밀 네비게이션, 우주 쓰레기 처리 등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며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우주 산업은 특히 6세대 이동통신(6G)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6G 시대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통신망 구축이 필수다. 위성통신은 지상과 위성이 연결된 3차원 네트워크로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통신, 데이터 등 분야에서 인공위성을 활용하면 다양한 신사업 개발에 유리하다.
세계 우주 산업은 이미 선진국들이 가능성을 보고 앞다퉈 관련 시장에 진출했다. 스페이스X와 같은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민간 기업의 활발한 참여와 투자로 우주의 상업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으며 규모도 급격히 커지고 있다.
최유빈 기자
- ‘뉴 스페이스 시대’ 주역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 우주산업 진두지휘
- [속보]누리호 비행 종료…데이터 분석 착수
- 노동계 내년도 최저임금 1만890원 제안… 경영계 “터무니없어”
- [속보] “누리호, 성능검증위성·위성모사체 분리 확인”
- [속보]누리호, 성공 여부 오후 5시 10분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