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3.9%를 나타내며 10년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가 더 오를 것이란 예상이 높다는 뜻이다.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으면 실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6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달(3.3%)보다 0.6%포인트 오른 3.9%를 기록했다. 2012년 4월(3.9%) 이후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상승 폭으로 보면 2008년 해당 통계가 작성된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앞서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9%를 넘어 4%대를 기록한 적이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8년 7월에서 2009년 7월과 경기 회복과정에서 일본 지진과 유럽 재정위기 등이 겹친 2011년 3월부터 1년간이다. 하지만 당시 상승 속도는 지금처럼 빠르지 않았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현재의 물가 흐름이 기대인플레이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국제 식량 가격 상승과 공급망 차질 등 해외 요인도 크고, 개인 서비스나 외식 등 생활물가와 체감물가가 높은 점도 기대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소비자가 지난 1년간 주관적으로 체감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의미하는 ‘물가 인식'(4.0%)도 한 달 만에 0.6%포인트 급등했다.
금리수준전망지수는 전달(146)보다 3포인트 오른 149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지수는 “6개월 후 금리가 지금보다 오를 것”이라고 대답한 사람이 하락을 예상한 사람보다 많으면 100을 웃돈다.
주택가격전망지수(98)는 한 달 사이 13포인트 떨어졌다. 1년 뒤 집값 상승을 점치는 소비자의 비중이 크게 줄었다는 의미다.
6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6.4로 5월(102.6)보다 6.2포인트 떨어졌다. 이 지수가 100을 밑돈 것은 2021년 2월(97.2) 이후 1년 4개월 만이다. 이에 따라 소비 위축과 내수 침체도 우려된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1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이라는 뜻이다.
황 팀장은 “우크라이나 사태, 미국의 금리 인상 등 우리가 조절할 수 없는 외부 요인이 많아 불확실성이 크다”며 “다만 거리두기 해제 이후 소비가 매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내수가 받쳐준다면 소비자심리지수 하락을 막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이남의 기자
- 이상일號, 시민 눈높이 맞춘 정책 ‘막판 스퍼트’
- ‘민선8기 김동연호’, 스타트업 혁신 인재 양성 ‘경기파란학교’ 설립 구상
- [국제유가] 글로벌 공급 우려 부각에 상승… WTI, 1.95%↑
- 53개 보험사 재무관리 성적표 나왔다… ‘F학점’ 받은 주인공은?
- 美 “바이든, 한·일 정상 첫 만남 고대… 북한 문제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