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사실상 재유행에 국면에 진입했다. 일주일 새 확진자 수가 2배가까이 늘어나는 더블링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방역당국이 전 국민 4차 접종 카드를 두고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지난 4월25일 서울 강서구 부민병원을 찾은 한 시민들이 4차 백신 접종을 위한 예진표를 작성하고 있다./사진=뉴스1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사실상 재유행에 국면에 진입했다. 일주일 새 확진자 수가 2배가까이 늘어나는 더블링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방역당국이 전 국민 4차 접종 카드를 두고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지난 4월25일 서울 강서구 부민병원을 찾은 한 시민들이 4차 백신 접종을 위한 예진표를 작성하고 있다./사진=뉴스1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사실상 재유행에 국면에 진입했다. 일주일 새 확진자 수가 2배가까이 늘어나는 더블링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방역당국이 전 국민 4차 접종 카드를 두고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3월부로 강제성을 띄던 백신패스 제도가 종료된 만큼 참여자를 어떻게 끌어모을지는 방역당국의 숙제다.

6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1만9371명이다. 지난주 수요일(6월29일)과 비교하면 84.8% 증가한 수준이다. 전날 1만8147명으로 전주 대비 83%나 늘었다. 사실상 일주일 새 신규 확진자가 두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방역당국은 최근 신규 확진자의 증가의 원인으로 면역력 저하를 꼽았다. 백신 접종 및 감염으로 형성된 면역력이 시간이 흐르면서 저하됐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오미크론 세부변이인 BA.5의 비중이 늘었고 여름철 휴가 시기까지 겹치면서 코로나19 전파 환경이 조성된 점도 확진자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당장 전문가들 사이에선 사실상 재유행이 시작된 것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적잖게 관찰된다. 1~3월 오미크론 대유행으로 약 1200만명이 감염됐다. 감염으로 생긴 면역 유지기간을 3~6개월로 가정할 경우 시기상 재유행이 시작된 셈이다.


참여율 저조한 4차 접종… 전 국민 대상?

방역당국도 이날 면역저하자와 고령층에 시행하고 있는 전국민 4차 접종에 관한 사항을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중이라고 밝혔다. 방대본 측은 “(전국민 4차 접종)논의 후 예방접종전문위원회를 통해 결정이 되면 구체적인 계획과 일정에 대해 안내하겠다”고 말했다.

문제는 전 국민의 4차 접종 참여 여부다. 지난 3월부로 백신패스 제도가 종료되면서 자율참여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백신 접종률도 저조하다. 지난달 29일 기준 1차 접종률은 87.8%, 2차 접종률은 87.0%인데 반해 3차 접종률의 경우 65.0% 수준까지 떨어진다. 면역저하자와 고령층(60세 이상) 4차 접종 대상자의 접종률은 33.9%에 불과하다.

백신접종 자체가 권고 수준인 터라 사실상 전 국민 4차 접종을 결정하더라도 참여율을 끌어올리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게다가 최근 확산세를 주도하는 BA.5의 경우 전파력이 강한 대신 치명률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백신 접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낮아질 것을 예측된다.

결국 방역당국이 재유행을 막기 위한 4차 접종을 발표하더라도 참여자 모집에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그동안 백신 접종은 방역안전 장치로 역할을 해왔으나 4차 접종과 관련해선 방역당국이 풀어야 할 숙제가 됐다.

정기석 한림대학교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BA.5에 대한 백신 효과성이 아직 불충분한 상황에서 강제성을 띤 전 국민의 4차 접종은 반대한다”며 “기존과 같이 면역저하자와 고령인구에 한해 4차 접종을 유지하는 게 현재로선 최선의 카드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용준 기자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