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스 차량만큼
짜증을 유발하는
야간 주행 빌런은

보배드림 / 눈뽕 차량

[오토모빌코리아=뉴스팀] 대다수 운전자는 야간 주행의 빌런으로 스텔스 차량을 꼽는다. 스텔스 차량은 야간 주행 시 반드시 켜야 하는 전조등 등을 켜지 않은 채 주행하는 차량을 의미하는데, 해당 차량은 주변 운전자들이 차량을 인식하기 어렵게 만들어 각종 사고들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런데 여기, 스텔스 차량 못지않은 야간 주행의 빌런이 하나 더 있다. 바로 주간주행등을 켠 채로 달리는, 소위 말하는 눈뽕 차량이다. 이번 시간에는 야간 주행 시 주간주행등을 켜고 다니는 것이 왜 위험한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동차 주간주행등
어떤 역할을 할까

우선 주간주행등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흔히 DRL이란 약자로 불리는 주간주행등은 주간 주행 시 다른 운전자나 보행자가 차량을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자동차 등화장치다. 주간에도 잘 보여야 하므로 빛의 세기가 굉장히 세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유럽에서는 안전상의 이유로 주간주행등의 장착을 의무화한 국가들이 많다. 국내 역시 2015년 7월 이후로 생산되는 차량부터 주간주행등의 장착을 의무화하고 있다. 대부분 차량은 시동만 걸면 별도 조작 없어도 주간주행등이 자동으로 켜지는데, 이 때문에 후술할 문제점들이 야기되기도 한다.

야간 주행을 할 때
눈부심을 전달하기도

클리앙 / 야간 주행 시 눈부심을 전달하는 차량
클리앙 / 야간 주행 시 눈부심을 전달하는 차량

앞서 주간주행등은 햇빛이 강한 주간에도 잘 보여야 하므로 빛의 세기가 굉장히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말했다. 이 때문에 야간 주행 시, 이를 끄지 않으면 주변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눈부심을 전달하게 된다.

주간주행등은 전조등을 켜는 순간 꺼지거나 빛의 세기가 줄어들게 된다. 야간에 주간주행등이 켜져 있는 차량이 있다면 이러한 조처를 하지 않았다는 의미인데, 사실 일부러 그러는 경우보다 전방 시야가 밝으니 전조등이 켜져 있다고 착각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내 차 주간주행등
어떻게 다뤄야 할까

연수구청 / 구청 운영 자동차 극장 현장

당연한 말이지만 주간주행등이 켜져 있는 상태로 야간에 주행하는 것은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위험한 행위다. 오토 라이트만 켜둬도 어느 정도 방지는 할 수 있겠지만, 이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선 운전자 스스로가 현재 차량 조명이 어떤 상황인지 인지하려는 자세가 먼저 필요하다.

추가로 자동차 극장같이 정차 중 주간주행등을 꺼야만 하는 곳들이 있다. 이런 곳들에서 주간주행등을 끄는 방법을 몰라 곤란해 하는 운전자들이 더러 있는데, 대부분 차량은 주차 브레이크를 채우거나 헤드램프 조절 노브를 OFF 상태로 두면 주간주행등이 바로 꺼지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점을 알아두자.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