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신문 박세진 기자】병원 등 요양기관에서 일하는 보건의료인력 중 의사 연봉 평균이 2억3000만원으로 집계되면서 가장 많은 임금을 받는 직종으로 나타났다. 다만, 코로나19로 인해 의료이용이 줄어 임금은 2.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7일 보건의료인력정책심의위원회에서 발표한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의사의 평균 임금은 2억3069만9496원으로 보건 의료인력 직종 중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치과의사 1억 9489만9596원 △한의사는 1억859만9113원 △약사 8416만1035원 △한약사 4922만881원 △간호사 4744만8594원이 뒤를 이었다. 가장 보수가 적은 진종으로 집계된 간호조무사의 평균 임금은 2803만 7925원이었다.
지난 10년간 임금이 가장 빠르게 증가한 직종은 의사로 연평균 5.2%의 증가율을 보였다.
의사 임금의 경우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증가하다가 2020년 2.3% 감소했다. 같은해 치과의사 임금 역시 2.1% 감소했으며, 한의사와 약사도 각각 6.4%, 0.7% 하락했다. 해당 원인으로 복지부는 코로나19 여파로 의료기관 이용이 줄어든 것을 꼽았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 의사의 경우 연평균 임금은 1억7287만원으로 남성 의사 2억4825만원의 약 69.6% 수준이었다. 치과의사도 이와 유사하게 남성 2억8868만원, 여성 1억4595만원으로 여성 임금이 남성의 약 69.9% 수준이었다.
임금 격차가 상대적으로 적은 한의사의 경우 개원 의사 1억1621만원, 봉직의사 8388만원으로 보수 차이는 2982만원 수준이었다. 아울러 남성 한의사 임금이 1억1266만원으로 집계된 반면 여성 한의사의 경우 9081만원으로 남성의 약 80.6%수준을 버는 것으로 집계됐다.
진료과목별로도 의사의 임금 격차가 발생했다.
개원의 기준 흉부외가가 4억879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안과 4억5837만원 △정형외과 4억284만원 △재활의학과 3억7933만원 △신경외과 3억 7065만원가 상위 5위에 들었다. 소아청소년과의 경우 1억875만원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2020년 보건의료인력 면허·자격등록자 수는 200만9693명으로 2010년 대비 81만 2028명 늘어 연평균 5.3%의 증가율을 보였다.
직종별 인원을 살펴보면 △의사 11만5185명 △치과의사 2만9419명 △한의사 2만3946명 △약사 5만6564명 △간호사 39만1493명이다. 다만, 면허·자격을 보유한 201만여명 중 65.7%인 132만명만 실제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세진 기자 [wls@ntoday.co.kr]
- 산업부, IPEF 공청회 개최…농어업계 ‘졸속 추진’ 반발
- [칼럼] 조광조 개혁정책, 완전무결했을까?
- 윤 대통령 지지율, 취임 두 달 만에 30%대
- 용산구, ‘어린이 생태교육’ 용산가족공원 내에 조성·운영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1만9323명…위중증 62명·사망자 12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