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신문 = 김상준 기자] SK시그넷이 국내 충전 인프라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현지에 전기차 충전기 생산 기지를 구축한다. 1500만달러(약 215억원) 규모의 초기 투자 후, 생산량 증대에 따라 추가 투자를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SK시그넷은 이사회를 열고 미국 텍사스주에 전기차 초급속 충전기 생산공장 건설을 결정했다고 12일 밝혔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2021년 11월 ‘국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한 특별법(NEVI)’을 제정한 데 이어, 올 8월 시행한 ‘인플레이션 감축법안(IRA)’에도 전기차 충전소 구축 시 세제 혜택을 포함하는 등,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때문에, SK시그넷의 이번 미국 공장 신설은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미국 정부는 NEVI 프로그램에 2030년까지 50억달러(약 7조1000억원) 규모의 보조금 예산을 책정했다. 이는 고속도로 50마일(약 80km)마다 급속 또는 초급속 충전소를 설치하는 등, 미국 전역에 총 50만개의 충전소를 구축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이 같은 NEVI 정책의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충전기 제품의 미국 내 생산이 필수적이다. SK시그넷은 미국 공장 구축으로 NEVI 보조금 정책의 수혜를 받게 될 몇 안 되는 기업이 됐다.

또 NEVI 정책에 따라 구축되는 충전소가 미국 내 생산뿐 아니라, 기술적으로 미국 정부가 요구하는 기준에 부합해야 한다. 현재 NEVI에서 요구하는 기준은 충전소당 600kW 이상의 전력 용량과 4기 이상의 디스펜서가 각각의 차량을 150kW이상의 전력으로 동시에 충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전력을 자유롭게 배분할 수 있는 기존 SK시그넷의 주력 제품과 구성이 유사하다.
SK시그넷은 350kW 용량의 파워캐비넷 1대에 175kW급 디스펜서 2기 또는 350kW급 디스펜서 1기로 구성된 제품을 주력으로 판매해온 만큼, 경쟁사 대비 선도적인 기술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K시그넷의 텍사스 공장은 올해부터 생산에 착수해, 2023년 2분기 내에는 생산라인 전량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공장 규모는 대지 면적 약 1만5000평, 건물 면적 4000평 규모로, 동일 부지 내 3000평의 추가 증축도 가능하다. 현 규모로는 미국 내에서만 연 1만기 이상의 충전기 생산이 가능해 SK시그넷은 한국, 미국을 포함해 연간 2만기 이상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됐으며, 미국 공장 증축 시에는 연간 총 3만기 이상 생산 여력을 갖추게 된다.
신정호 SK시그넷 대표는 “이번 미국 공장 설립으로 미국 정부 NEVI 정책에 부합하는 제품을 경쟁사 대비 한발 앞서 생상하게 된 만큼, 북미 초급속 충전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굳힐 것”이라고 밝혔다.
김희욱 SK시그넷 연구개발본부장(CTO)은 “20여년간 축적한 한국의 제조 기술과 경험을 미국 공장에 이식하고 신속히 미국 내 부품 공급망을 구축해 미국 공장을 조기에 안정화시킬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 LPGA 국가대항전, 한화 라이프플러스 업고 5년 만에 열린다
- “해외보다 싸다”…이마트·쓱닷컴, 하반기 최대 ‘와인장터’ 개최
- DB손보, 창립 60주년 고객 감사 ‘6개의 약속’ 이벤트 실시
- “한은 빅스텝 즉각 반영”…우리은행, 예·적금 최대 1.0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