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주택의 매매량이 급감한 가운데 갭투자 비율이 오르고 있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서울의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대상 주택 매매 중 임대보증금 승계 비율(갭투자)이 53.4%로 집계됐다.
서울 전체 제출대상 4만7920건 중 절반을 넘는 2만1763건에 해당한다. 2020년 44.3%, 지난해 51.4%로 점차 느는 추세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비율이 36.2%, 34.3%, 31.7%로 줄어든 것과 상반된다.
서울 주택 매매건수는 2020년 17만7224건에서 지난해 11만6740건, 올해 1~8월 3만9894건으로 급격하게 감소했으나 비율은 높아진 셈이다.
서울에서는 강서구의 비율이 67.0%로 가장 높았다. 이어 △용산 66.9% △중랑 64.5% △양천 63.6% △송파구 60.0% 순이다.
다만 과거와 달리 시세차액을 노리는 투자보다는 미래 수요를 앞당긴 것이라는 전문가 의견이 나온다.
함영진 직방 데이터랩장은 “예전처럼 차액을 보기 위한 갭투자 수요라기보단 급매물이 나올 때 괜찮은 지역을 미리 전세를 끼고 사는 형태로 흐름이 바뀌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지역적으로도 수도권에 몰리거나 낮은 거래량 속에서 이자부담을 피하는 급매물을 확보하는 투자로 보인다”고 말했다.
rma1921kr@news1.kr
(서울=뉴스1) 금준혁 기자
- 현대건설, 원전해체 부지복원 기술 ‘환경부 녹색인증’ 획득
- 전국 먹거리 전문가들 청양 ‘푸드플랜’ 견학
- [부고] 이원준씨(프로축구 FC서울 전력강화실장) 모친상
- MBC ‘尹 발언’보도·PD수첩 ‘대역’ 표기 불씨…강대강 대치(종합)
- ‘뽀식이’ 이용식, ‘남희석의 울산시대’ 출연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1
+1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