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상형전자담배 판매대(특정 기사 내용과 무관한 자료사진) © 뉴스1 DB
액상형전자담배 판매대(특정 기사 내용과 무관한 자료사진) © 뉴스1 DB

일반 담배(궐련) 흡연뿐만 아니라 전자담배를 사용할 경우에도 미세먼지가 배출되며 특히, 액상형 전자담배에서의 미세먼지 배출량이 담배 가운데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21일 연세대에 의뢰해 지난해 9월부터 올해 5월까지 진행한 ‘간접흡연 실외노출평가 연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담배 종류별로 실외 간접흡연 노출 정도를 평가했다. 

연구자들은 궐련, 액상형 전자담배, 궐련형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흡연자를 기준으로 각각 3m, 5m, 10m 간격에서 실험을 진행했다. 담배 종류별 연기 혹은 에어로졸이 이동하는 것을 카메라로 촬영해 공기 중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PM1.0), 블랙 카본 등을 측정했다. 

그 결과 담배제품별 1개비당(액상형 전자담배의 경우 액상 0.2g)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농도는 ‘액상형 전자담배 > 궐련 > 궐련형 전자담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측정 거리별로는 미세먼지 확산 거리에서 ‘액상형 전자담배 > 궐련형 전자담배 > 궐련’ 순으로 높았다. 

액상형 전자담배가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가장 많이 배출하고, 미세먼지 확산 거리도 가장 길어 간접흡연 피해를 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복합악취 강도는 ‘궐련〉액상형 전자담배〉궐련형 전자담배’ 순으로 나타나, 액상형 또는 궐련형 전자담배가 궐련에 비해 냄새와 불쾌감이 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완전 연소 시 발생하는 그을음을 말하는 블랙 카본 농도의 경우 ‘궐련〉액상형 전자담배 〉궐련형 전자담배’ 순으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궐련에 비해 상대적으로 냄새 자극(악취)이 덜한 전자담배에서도 블랙 카본 등 유해물질 배출이 확인됐다”며 “간접흡연 피해를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ungaungae@news1.kr

(서울=뉴스1) 권영미 기자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