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뉴시스
▲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중장년층에 해당하는 4050의 가계대출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경제 허리’라고 불리는 4050세대가 경제위기에 처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실이 21일 금융감독원으로 부터 제출받은 ‘업권별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40대에서 50대의 가계 대출액은 총 1014조 147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3년간 지속해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20년 4050세대의 가계대출은 전년 대비 5.1% 증가했으며, 2021년에는 4.5%를 기록했다. 이어 올해 역시 3월 말까지 0.02%의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4050세대의 경우 타 연령대와 비교했을 때 다중채무자 비중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상된 금리로 인해 연체율 상승이 유발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진선미 의원은 “4050 가계대출에 빨간불이 켜졌는데, 이들 중 대다수는 새정부의 금융지원정책 수혜에 포함되지 못하여 고립되는 실정”이라며 “4050 세대의 부실은 국가 경제 전체의 위험이 될 수 있는 만큼, 다른 세대와 함께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은행은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 보고서를 통해 국내은행에서는 대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봤지만 상호저축은행 등의 비은행금융기관 대출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상호저축은행 및 신용카드회사는 경제여건의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자금수요 등이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으나, 상호금융조합이나 생명보험 등은 금리상승 등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가계의 신용위험도도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한 채무상환 부담 증대 등으로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은이 발표한 ‘2022년 6월 중 금융시장동향’에서도 올해 6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60조8000억원으로 5월 말보다 3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시온 기자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