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서울 명동 커뮤니티 하우스에서 열린 '우주의 조약돌' 첫 강의에서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왼쪽)와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학생들과 문답을 진행하고 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 뉴스1
지난 23일 서울 명동 커뮤니티 하우스에서 열린 ‘우주의 조약돌’ 첫 강의에서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왼쪽)와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학생들과 문답을 진행하고 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 뉴스1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3일 서울 명동 커뮤니티 하우스에서 우주 영재 교육 프로그램 ‘우주의 조약돌’ 첫 강의를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카이스트(KAIST)와 함께 하는 이번 교육 프로그램에는 47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전국의 중학생 30명이 참여했으며 6개월 동안 진행된다.

이날 첫 번째 교육에선 ‘왜 우주를 공부하는가’에 대한 철학과 인문학적 소양을 키우기 위한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가 진행됐다. 강사로는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와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가 나서 학생들과 토론했다.

다음달 열리는 두 번째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에선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 이소연 △다윈의 식탁을 쓴 과학철학자 장대익 박사 △SF 작가 김창규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직접 인공위성을 만들고 있는 황정아 박사 등이 나설 예정이다.

9월부터는 현직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8명, 석·박사 과정 멘토들과 함께 팀을 꾸려 수행하는 ‘우주 미션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주제 선정부터 논리 구체화, 과제 완성까지 모든 과정을 카이스트 석·박사들의 팀 프로젝트 방식과 똑같은 자기 주도형으로 설계했다.

11월에는 합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앰배서더 폴윤 박사와 함께 현직 NASA 연구원과 온라인 만남을 가질 예정이다. 내년 1월에는 ‘우주의 조약돌’ 멘토진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현직 연구원 등 우주 전문가들 앞에서 그동안 준비한 ‘팀 프로젝트 결과’를 발표한다.

모든 과정을 수료한 학생들은 △카이스트 총장 수료증 △카이스트 영재교육원 수강권 △전문가와 1:1 진로 컨설팅 등을 받을 수 있다. 팀 프로젝트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는 내년 초 해외탐방 기회도 준다. ‘우주의 조약돌’ 프로그램 교육·연수 비용은 전액 한화 스페이스 허브가 부담한다.

themoon@news1.kr

(서울=뉴스1) 구교운 기자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