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 이하 GM)는 19일, GM의 한국 출범 20주년을 맞아 창원공장에서 기념식을 개최하고, GM의 한국 내 성장 비즈니스 전환을 위한 전략과 향후 목표를 제시했다.

본 행사를 통해 GM은 지난 20년간 한국에서 이뤄낸 주요 성과를 기념하고,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의 생산을 위해 최신식 설비투자가 진행된 창원공장을 바탕으로 향후 GM의 한국 비즈니스를 수익성 있고 지속 가능한 사업모델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을 밝혔다.

이날 로베르토 렘펠 한국지엠 사장은 “한국지엠은 2002년 출범 이래로 한국에 총 9조원 이상을 투자했고 지난 20년간 약 2600만대 차량을 생산했다”면서 “최근에는 GM의 차세대 글로벌 신차 생산을 위해 창원공장에 9000억원, 부평공장에 2000억원을 투자한 바 있다”고 밝혔다.

한국지엠은 부평공장에서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를, 창원공장에서 차세대 전략 차종을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트레일블레이저는 2020년 출시 이후 현재까지 전 세계 시장에서 38만대 이상이 수출됐다.

이날 행사에서 로베르토 렘펠(Roberto Rempel) 사장은 지난 20년간 한국경제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기여해 온 GM의 이정표에 대해 “국내 최대 외국인 투자기업인 GM은 지난 20년 동안 수십만 일자리를 창출하며 국내에서 차량을 생산, 판매, 수출하고, 글로벌 차량을 디자인, 개발하는 등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함과 동시에, 꾸준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계속해왔다”라며 “또한 부품 공급업체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을 이뤄내며 한국 자동차산업의 생태계 발전에 기여해 왔음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한국지엠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창원공장에 프레스·차체·조립 공정에 관한 집중 투자를 진행하고 8만㎡ 면적에 3층 높이의 도장공장을 신축하는 등 공정별로 GM의 최신 글로벌 표준 기술과 자동화 설비를 적용했다. 이로써 창원공장은 소형~대형 차량까지 생산 가능한 역량을 확보했으며 시간당 60대 차량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실판 아민 GM 해외사업부문 사장은 “생산기지 측면에서는 창원에서 생산되는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은 GM의 글로벌 비즈니스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며, 한국 팀은 전 세계 고객들을 위한 탁월한 성과를 낼 것이라 확신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한국지엠은 글로벌 신차 수출 확대와 다양한 차량 포트폴리오 제공의 내수 강화 전략을 통해 한국을 성장 비즈니스로 탈바꿈하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한국지엠은 2023년까지 연간 50만대 규모의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트레일블레이저와 차세대 글로벌 신차를 적시에 전 세계 시장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또 한국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돕기 위해 2025년까지 GM 브랜드 전반에 걸쳐 10종의 전기차를 출시한다는 전략이다.

렘펠 사장은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은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와 함께 전 세계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GM은 실용성을 추구하는 고객부터 프리미엄 차량의 경험을 원하는 고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아메리칸 라이프스타일을 원하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쉐보레, 캐딜락, GMC의 글로벌 최고 모델들을 국내에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GM은 2025년까지 GM 브랜드 전반에 걸쳐 10종의 전기차를 국내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MOTORDAILY-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