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그룹이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의 전동화 체제 구축을 위해 5조2000억원을 투자하고 정부·유관기관과 손을 잡는다.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의 경쟁력을 끌어올림과 동시에 안정적인 전기차 부품 공급망을 구축해 현대차를 중심으로 한 국내 자동차 생태계의 경쟁력을 이어가기 위한 포석이다.
현대차그룹은 19일 경기도 화성시 소재 현대차·기아 기술연구소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공정거래위원회,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공정거래조정원,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과 함께 ‘자동차 산업 상생 및 미래차 시대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축사를 통해 “정부는 부품업계의 미래차로의 신속하고 유연한 전환을 지원하고 대·중소기업 간 혁신하고 상생하는 생태계를 만들 것”이라며, “이를 위해 핵심부품 소재의 국내 생산기반 확충과 기술자립화를 적극 추진하고 기술개발 및 금융·세제 지원을 통해 부품업계의 사업다각화를 촉진하겠다”고 말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자동차 산업의 성공적인 전동화 전환을 위해서는 완성차, 부품업계, 정부, 유관기관이 하나의 팀이 돼 유기적 협업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며 “미래차 시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부품업계에 대한 상생과 지원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협약에서 현대차그룹은 ‘자동차 산업 상생 및 미래차 시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롭게 실시하는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발표하고 5조2000억원 규모의 △손익 지원 △유동성 지원 △경쟁력 향상 지원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협력사가 안정적인 경영 환경을 토대로 미래 경쟁력 확보에 집중할 수 있도록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납품대금 연동제를 확대 실시하기로 했다. 원자재가 변동 시 납품가에 반영해 협력사의 어려움을 분담하겠다는 취지다. 올해 현대차그룹이 300곳 이상의 1차 협력사에 부담하는 원자재 납품대금 인상분 규모는 약 3조원이며 그 외 협력사의 경영 상황 등을 감안해 추가로 4000억원 가량 지원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금리 및 환율 인상으로 인해 1차 협력사보다 더 큰 어려움을 체감하고 있는 2·3차 협력사가 수익성을 유지하고 부품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도록 1000억원을 출연해 ‘공급망 안정화 기금’을 조성한다. 협력사의 자금 유동성을 위해 3000억원 규모의 ‘사업다각화 지원 펀드’도 도입한다. 또한 같은 규모의 ‘납품대금 연동제 도입 지원 펀드’를 조성해 2·3차 협력사에 대해 납품대금 연동제를 실시하는 1차 협력사의 대출 이자를 지원할 계획이다.
1차 협력사 대상으로 실시 중인 납품대금 선지급 등의 유동성 지원안도 2·3차 협력사로 확대하기로 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오는 2027년까지 발생하는 약 1조원의 상각 금형비는 협력사에 일시 지급할 예정이다. 아울러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250억 원씩 출연해 ‘공동투자 R&D 기금’을 마련하고 자동차 부품 및 인프라 관련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협력사를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친환경·자율주행 등 미래차 사업에 투자하는 부품사의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부품사에 대한 이자지원 대출사업을 확대한다. 차량 전동화 경쟁력의 핵심인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인재 양성에 힘쓰고 미래차 정비 교육 개발 및 예산 지원 등에 나설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현대차그룹이 운영 중인 납품대금 연동제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시범사업 운영 및 표준계약서를 마련하고, 현대차그룹과 함께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중기부는 현대차그룹이 2·3차 협력사의 수익성 보전 및 경영안정 지원을 위해 마련한 ‘공급망 안정화 기금’에 대해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과 집행 관리가 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3차 협력사까지 납품대금 연동제가 자율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개선하는 등 제도적 지원을 추진한다.한국자동차연구원과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은 미래차 관련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과 더불어, 부품사 대상 정책 홍보 및 참여 기업 선정 등을 담당한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이 전동화 계획을 적기에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내 부품사들이 안정적으로 전동화에 성공해야 한다”며 “현대차그룹이 협력사에 대규모 자금을 투자하는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강준,이태성
- 놀다보니 학습능력 ‘쑤욱’…K에듀, 베트남·인도 진출 가시화
- 불황에도 잘 키운 韓 배터리 ‘든든’…LG·삼성 역대급 실적, SK도 호전
- 박병호 생애 첫 우승 반지, 이대로 물거품 되는 것인가
- 돈줄 막힌 2금융권도 ‘몸 사리기’…저신용자 대출 옥죈다
- “아이 많을수록 엄마 이직 잦고 임금 낮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