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미국 미시간주 공장.(LG에너지솔루션 제공)
LG에너지솔루션 미국 미시간주 공장.(LG에너지솔루션 제공)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이 북미 현지에서 흑연을 확보하며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대응에 나섰다.

LG엔솔은 호주 시라(Syrah Resources Limited)와 천연 흑연 공급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19일(현지시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2025년부터 양산하는 천연흑연 2000톤 공급을 시작으로 협력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 말까지 세부내용을 협의한 뒤 최종 공급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흑연은 배터리 핵심 소재 중 중국 의존도가 가장 높은 광물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흑연의 중국산 비율은 70.4%에 달한다. 이에 LG엔솔뿐 아니라 배터리 업계 대부분 흑연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을 다각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왔다.

시라는 세계 최대 흑연 매장지로 불리는 모잠비크 광산을 소유해 운영하고 있다. 내년부터 미국 루이지애나(Louisiana)주에 생산공장을 설립해 운영할 계획이다. LG엔솔은 시라의 천연흑연 사용을 통해 원재료에 있어서도 중국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라가 확보한 흑연 광산 및 미국 생산공장을 통해 생산된 원재료를 배터리 제조에 활용한 경우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에 포함된다는 게 LG엔솔 측 설명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LG엔솔은 북미 지역 내에서 양극재 핵심 소재인 리튬·니켈·코발트 뿐만 아니라 음극재 핵심 소재인 흑연까지 배터리 핵심 소재에 대한 공급망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LG엔솔은 앞서 캐나다 광물업체 일렉트라(Electra), 아발론(Avalon), 스노우레이크(Snowlake)와 황산코발트 7000톤·수산화리튬 25만5000톤을 공급받기로 했다.

또 △캐나다 시그마리튬 리튬정광 69만톤 △미국 리튬 생산업체 컴파스 미네랄(Compass Minerals)이 2025년부터 7년간 생산하는 탄산·수산화리튬의 40% △유럽 리튬 생산업체 독일 벌칸에너지 수산화리튬 4만5000톤 △호주 라이온타운 수산화리튬 원재료 리튬정광 70만톤을 확보했다.

권영수 LG엔솔 CEO(최고경영자) 부회장은 “이번 협력은 핵심 전략 시장인 미국에서 경쟁력 있는 원재료를 선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차별화된 원재료 공급 안정성 및 원가경쟁력을 갖춰 고객들에게 최고의 QCD(품질·비용·납기)를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숀 베르너 시라 CEO는 “글로벌 배터리 시장 선도업체인 LG엔솔과 천연 흑연 공급에 관한 MOU를 맺게 돼 뜻 깊다”며 “LG엔솔과 함께 미국 내 배터리 생산 능력 확대 및 공급망 구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kukoo@news1.kr

(서울=뉴스1) 구교운 기자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