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묵적으로 행해지는 캥거루 운전
카메라 지날 때면 속도 째려본다
티맵과 계기판 표시 속도는 다르다

[오토모빌코리아=뉴스팀] 요즘엔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어플이 단속카메라의 존재나 구간단속 커트라인을 다 알려주기 때문에, 과속카메라에 찍히기가 더 어려운 세상이 되었다. 이 때문에, 고속도로에는 카메라 앞에서만 감속하는 ‘캥거루 운전’이 암묵적으로 만연해 있다.
티맵 등 내비게이션 어플은 현재 주행 속도를 표시해주고, 규정 속도를 넘게 되면 경고음을 통해 이를 알려준다. 이는 캥거루 운전을 하지 않더라도 보게 되는데, 내비게이션에서 알려주는 속도와 자동차 계기판에 표시된 속도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내비게이션이 5km/h 덜 나오는데
GPS 기반의 측정 방식이라 정확


내비게이션 어플을 웬만큼 사용한 운전자라면 알고 있을 사실로, 내비게이션 어플에 표시된 속도가 계기판보다 5km/h 정도 낮게 나온다. 이는 측정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차이인데, 그렇다면 어떤 것이 더 정확할까?
실제 속도에 더 가까운 수치는 내비게이션 어플이다. 자동차에 내장된 내비게이션이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GPS를 통해서 속도를 측정한다. 위성을 통해 초 단위로 자동차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GPS 기능에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한 거의 오차가 없다.
바퀴 회전 수 측정하는 계기판
안전기준 때문에 살짝 높게 표시


계기판에 표시되는 속도는 바퀴의 회전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측정된다. 바퀴에 부착된 센서로 분당 회전수를 계산하고, 타이어의 둘레를 고려해서 산출되는 속도이기 때문에 정확하지만 타이어 마모 정도에 따라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계기판 속도가 내비게이션보다 조금 더 높게 표시되는 이유는, 안전 문제상 실제 속도보다 5~10km/h 높게 나오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110조 2항에 따르면 속도계에 표시되는 지시 속도는 실제 속도와 같거나 일정 정도 높아야 한다.
단속 기준에도 허용 범위 있다
그래도 과속 운전은 절대 금물


내비게이션이 항상 모든 운전자에게 더 정확한 것만은 아니다. 계기판은 전자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속도를 계산하며, 내비게이션은 전파를 주고받을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급출발, 급가속 등 공격적인 운전 습관을 지녔다면 계기판을 참고하는 편이 더 낫다.
더불어, 100km/h 속도 제한 구간을 101km/h로 통과했다고 해서 단속에 걸리지 않았을까 노심초사하지 않아도 된다. 우리나라 과속 단속 기준에는 제한속도와 허용 속도 개념이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10~20% 이내의 범위 이탈은 단속하지 않는다. 하지만, 과속은 언제나 위험하고 사고 발생 시 큰 피해를 면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김현일 에디터
- “다른 곳은 안 받아준다” 자동차 엔진 박살났을 때 가야하는 카센터, 어디일까?
- “카푸어 특 주차비 아까워함” 우리나라에 주차 공간 없다고 하는 사람들 특징
- “카센터 가야할 거 같은데…” 엔진오일 도대체 언제 교체해야 할까?
- 흡연자들이 이래서 욕먹지… 차 밖으로 버린 담배꽁초, 어떤 처벌받을까?
- 에버랜드 먹튀 논란으로 물의 빚었던 이휘재·문정원 부부의 자동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