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청양군 소방공무원들이 드론을 활용해 실종자를 수색하고 있다.
충남 청양군 소방공무원들이 드론을 활용해 실종자를 수색하고 있다.

충남소방본부가 지난해 말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119수색구조대응체계’를 구축하면서 실종 치매 노인 수색 시간을 3분의 1 가량 단축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도내에서 발생한 치매 노인 실종사고는 48건으로, 평균 수색 소요 시간은 6시간 50분이었다.

이는 최근 3년(2019~2021년) 평균인 10시간 18분 보다 33% 감소한 수치이다.

수색시간 감소는 지난해 12월부터 119수색구조대응체계를 구축해 대응한 것이 효과를 거둔 때문이다.

119수색구조대응체계는 사고사례 분석을 통해 거주지로부터 발견된 장소까지의 거리와 사고 발생 시간대, 수색 범위와 수단이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데이터를 구축하고 최적의 장비와 인력 규모를 결정하도록 설계됐다.

또 실종 사건 발생 시 마을 지리와 평소 실종자의 행동 습관 등을 잘 아는 의용소방대와 이통장들로 마을수색대를 꾸려 수색을 진행했다.

열화상카메라 기능이 탑재된 최신 소방드론 동원 등 도 단위 광역 드론 수색팀도 가동해 실종자의 생존율 향상에도 노력했다.

실종사고 대응력 향상을 위해 유형별 수색기법을 담은 ‘실종 수색 10대 수칙 체크리스트’를 도내 모든 소방관서에 보급한 것도 큰 도움이 됐다는 설명이다.

김광진 소방본부 구조팀장은 “치매 노인의 행동 특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확률에 기반한 수색을 한 것이 구조 시간 단축에 기여한 것으로 본다”며 “수색 기록지 작성 등 더 많은 데이터를 구축해 지속적인 수색기법 고도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chansun21@news1.kr

(대전ㆍ충남=뉴스1) 이찬선 기자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