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가을·겨울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독감이 같이 유행하는 트윈데믹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22일 서울 은평구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올 가을·겨울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독감이 같이 유행하는 트윈데믹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22일 서울 은평구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오는 10~11월 늦가을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7차 재유행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코로나19와 독감이 동시에 유행하는 트윈데믹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날씨가 추운 계절엔 바이러스가 왕성하게 활동해 고위험군에게 더욱 치명적일 수 있다.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지난 22일 코로나19 대규모 유행이 오는 10~11월 다시 찾아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됐다 회복한 사람들과 백신을 맞은 이들에게 형성된 면역 항체의 감소와 추운 날씨의 영향으로 코로나19가 다시 유행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 위원장은 이날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회 설명회에서 “제 예측이 틀렸으면 좋겠지만 한 번의 큰 파도가 남아 있다”며 이같이 예측했다.

그는 “코로나19는 아마 이번 주 정도에 정점을 찍고 앞으로 서서히 감소할 것”이라며 “하지만 10~11월이 되면 모든 사람들의 면역이 일시에 떨어지는 시기가 온다. 8월에 맞은 4차 접종의 효과도 12월 정도까지밖에 가지 않으며 그전에 맞은 사람들은 더 일찍 끝날 것”이라고 말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 3월 오미크론 유행 당시 1800만명에 가까운 국민이 코로나19를 앓으면서 면역력을 획득했다. 감염으로 획득한 면역은 6개월 정도 유지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르면 9월, 늦어도 12월 사이에는 전 국민의 평균적인 면역 수준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는 이유다.

여기에 11월부터 본격적으로 유행하는 독감의 유행까지 겹치게 되면 방역의 어려움은 더 커질 전망이다.

올해는 독감 유행 시기가 예년보다 빨라질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2020년과 지난해의 경우 코로나19 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등 강력한 방역 조치가 시행돼 독감 유행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었지만 올해는 방역 조치가 사실상 사라진 만큼 독감 유행 시기도 당겨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독감은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호흡기질환으로 매년 초겨울부터 이듬해 초봄까지 유행한다. 증상만 놓고 보면 코로나19와 구분하기 어렵고 노인이나 기저질환자가 두 감염병에 동시에 걸리면 사망 위험이 치솟을 수 있다. 당국도 올 가을·겨울 코로나19와 독감이 동시 유행할 가능성이 있다며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4일 브리핑에서 “남반구에서 지금 현재 코로나19와 독감이 동시에 유행을 하고 있다”면서 “국내에서도 가을·겨울철에 코로나와 인플루엔자가 동시에 유행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독감 예방접종과 코로나 대비 대응에 대해서 동시에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트윈데믹 대비와 국민 면역력 상승을 위해 4차 접종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일단 전 국민 4차 접종에는 신중한 입장이다. 우선 50대 이상 연령대와 고위험군의 4차 접종률을 끌어올리는데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4차 접종 후 시간 경과에 따라 감염 예방효과는 감소하나 중증화 및 사망 예방효과는 접종 후 46일까지 40% 이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국내에서도 4차 접종의 중증·사망 예방효과가 확인됐다. 이에 근거해 대상자들의 접종 참여를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

김윤섭 기자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