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하는 만큼 보여주진 못했지만, 최선을 다했다. 트라이아웃 참가자 중 가장 빠른 공을 던진 우완 김민종(23·성남 맥파이스)이 물심양면 지원해주신 부모님께 감사 인사를 전했다.
김민종은 지난 29일 인천 강화군 SSG퓨처스필드에서 열린 2023 KBO 신인 드래프트 트라이아웃에 참가했다. 성남고-한일장신대(3학년 중퇴)를 거쳐 지난해부터 독립 구단 성남 맥파이스에서 뛰고 있는 그는 투수 테스트에서 평균 직구 시속 144㎞, 최고 146㎞의 공을 던지면서 관계자들의 시선을 끌었다. 직구 외에도 커브, 투심 패스트볼, 슬라이더를 던지며 가능성을 확인했다.
투구를 지켜본 한 스카우트는 “변화구가 아쉽긴 하지만, 오늘 참가한 투수 중 가장 낫다. 직구 볼 끝도 괜찮다. 다만 미필이라 (드래프트 지명은)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평가했다. 김민종 역시 “대학교 2학년 때 팔꿈치 인대 접합 수술(토미 존 서저리)을 받으면서 뼛조각 제거 수술도 같이 받았다. 원래 3급 판정을 받았었는데 그 과정에서 이번에 4급 판정이 떴다. 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은 나도 두고두고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야구를 좋아하는 집안에서 태어나 자연스레 야구 선수를 꿈꿨다. 김민종은 “아버지 고향이 부산이시고, 나도 부산에서 생활을 좀 했다. 아버지뿐 아니라 할아버지, 이모 등 가족들이 야구를 정말 좋아하는데 아버지의 경우는 매 식사 시간마다 롯데 경기를 보신다. 그렇다 보니 나도 어릴 때부터 롯데를 정말 좋아했다. 롤모델도 고(故) 최동원 선배다. 송승준 선배님도 정말 좋아한다”면서 “항상 고척에서 롯데 경기가 있으면 보러 갔다. 올해 초반 롯데가 잘할 때 정말 좋았고, 그래서 더 롯데에 가고 싶었다. (포스트시즌 진출 가능성에 대해서도) 아직 6위라 가능성은 있다고 본다”고 팬심을 고백했다.

성남 맥파이스 김민종.
밝은 이야기도 잠시, 곧 현실을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올해 트라이아웃 참가자 중 가장 눈에 띄긴 했지만, 아직 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그를 지명하기에는 구단 입장에서도 부담이 따른다. 선수 역시 이를 알고 있다.
김민종은 “고등학교 때부터 ‘야구 조금만 더 하자’라는 말을 정말 많이 들었다. 스카우트 분들도 대학교에 가서 조금만 다듬고 프로로 넘어가라는 이야기를 해주셨다. 하지만 나이도 같은 학년 선수들보다 한 살 많아 더 도전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면서 “올해 지명을 받으면 좋겠지만, 만약에 되지 않으면 이대로 야구 인생을 끝내려 한다. 고등학교 때 시속 145㎞를 던졌고 대학교 때 최고 153㎞까지 나왔다. 오늘은 아쉽게 구속이 안 나오긴 했는데 최선을 다해서 던졌다”고 차분하게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사실상 마지막 도전인 만큼 잘 되지 않았을 때를 대비한 계획도 이미 세워놨다. 김민종은 “야구를 그만두면 야구할 때 힘들었던 기억이 계속 생각날 것 같아 코치나 이런 쪽으로는 발을 들이지 않으려 한다. 다행히 친화력이 좋은 편이라 다친 학생들의 치료를 도와주고 싶다. 다녔던 재활병원에서 트레이너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공부도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부모님이 가장 먼저 생각난다. 내가 외동이라 야구한다고 많은 지원을 해주셨다. 프로 선수가 되면 정말 행복하겠지만, 안 되더라도 부모님께서 “네가 올해 야구를 제일 열심히 한 것 같다. 최선의 모습을 보여줬다”고 인정해주셔서 기쁘다. 지금까지 노력한 나에게도 수고했다고 말해주고 싶다”고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동윤
- 법원,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 옵티머스 파산 선고
- DS오토모빌, DS4 엔트리 트림 ‘트로카데로’ 출시
- 완도해경, 노화도 당산해양자율방제대 발대식 개최
- 대전대, 제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 복합안보 워크숍 개최
- 美, 대만에 전투기·미사일 등 1.5조 무기 판매 추진…中 반발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