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값 하락이 계속되면서 깡통 전세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부동산테크를 통해 공개한 ‘임대차시장 사이렌’ 정보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9월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은 75.2%로 8월(74.7%)보다 0.5%포인트(p) 높았다.
전세가율은 해당 월을 기준으로 최근 3개월간의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한 것이다.
전세가율이 80%를 넘으면 ‘깡통전세’ 위험 신호로 본다. 이런 주택은 경매에 넘어갈 경우 전세보증금을 전액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지역별로 경북 포항북(91.7%), 경북 구미(90.8%), 전북 익산과 경북 포항남구(각 90.6%), 광양시(90.2%) 등의 전세가율이 90%를 넘어 깡통전세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은 8월 69.4%에서 9월에는 70.4%를 기록했다.
서울은 63.2%로 전월대비 1.2%p 올랐다.
서울 자치구별로는 △중구 78.6% △금천구 76.6% △관악구 73.3% △강서구 73.2%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전국의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은 지난 8월 83.1%에서 9월에는 83.4%로 0.3%p 높아졌다.
관악구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이 91.9%로 서울 자치구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강북구도 91.2%로 깡통전세 위험이 우려되고 있다.
지방은 전세가격이 매매가를 뛰어넘은 곳들도 나오고있다.
부산 연제(127.4%), 경북 구미(102.6%), 경기 이천(102.1%), 경기 화성(102%), 경북 포항북(101.8%), 경기 안산 상록(100.7%) 등이 전세가율 100%를 초과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전세 수요자들이 입주 전 전세권을 설정하거나 전세금 반환 보증보험 가입으로 전세금을 지킬 수 있는 안전장치를 마련해두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아름 기자 jjar@asiatoday.co.kr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아름
- 평택 해군 2함대, 제2연평해전 전승비 제막…숭고한 애국심 기려
- 전국 SNS기자단, ‘빛고을’ 광주 홍보 위해 나섰다
- 인천시, 초일류도시 조성 뒷받침 ‘전문 자문단’ 출범
- 롯데홈쇼핑, 로봇 기반 자동화 시스템 ‘이천 물류센터’ 오픈
- 경기문화재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북한산성 가치 재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