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스 출신의 인상주의 거장 클로드 모네(1840∼1926년)의 작품 ‘건초더미’가 환경운동가들이 던진 으깬 감자를 맞고 노랗게 물들었다.
23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독일 기후환경단체 ‘라스트 제너레이션’ 소속 활동가 2명이 이날 독일 포츠담 바르베리니 미술관에 전시된 모네의 ‘건초더미’에 으깬 감자를 투척했다.
주황색 형광 조끼를 입은 이들은 이후 그림 아래에 쪼그리고 앉아 미술관 벽에 자신들의 손을 접착제로 고정하는 퍼포먼스도 했다. 이들은 “사람들은 굶주리고 있다. 추위에 떨고 있다. 죽고 있다” 등의 발언을 이어갔다.
화석연료 사용 축소 필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충격 요법을 쓴 것이다. 이들은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 시위 장면을 공유하고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과정이 우리 모두를 죽이고 있다는 것을 사회가 기억하는데 그림이 필요하다면, 우리는 그림 위에 으깬 감자를 줄 것”이라고 밝혔다.
미술관에 출동한 경찰은 벽에 붙은 시위대 손을 분리하고 재산침해와 무단침입 등 혐의로 이들을 체포했다.

독일 환경운동가들이 23일(현지시간) 포츠담의 한 미술관에 전시된 인상파 화가 클로드 모네의 작품에 으깬 감자를 끼얹은 다음 접착제로 자신의 손을 벽에 붙이고 있다. /사진=’letzte generation’ 트위터 캡처 모네의 ‘건초더미’는 독일의 억만장자인 하소 플래트너의 소장품 중 하나로 이 미술관에 영구 대여하고 있다. 앞서 2019년 경매에서 당시 모네의 작품 중 가장 높은 금액이었던 1억1100만 달러(약 1596억원)에 낙찰됐다.
미술관 측은 작품이 유리 액자로 보호돼 있어 훼손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해당 작품은 오는 26일부터 다시 전시될 계획이다. 미술관장은 성명에서 “기후 재앙에 직면한 운동가들의 걱정을 이해한다”면서도 “그들이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쓴 수단에 충격을 받았다”고 비판했다.
이번 시위는 영국의 환경단체 소속 2명이 런던 내셔널갤러리에서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 ‘해바라기’에 토마토 수프를 끼얹는 시위를 벌인지 9일 만에 벌어졌다.
이 밖에도 최근 각국에선 기후 활동가들이 세계적 명화에 음식물을 뿌리거나 접착제로 손을 붙이는 시위를 벌이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시위에 이용된 작품은 레오나르도 다빈치 ‘최후의 만찬’ 복제본, 존 커스터블 ‘건초 마차’, 파블로 피카소의 ‘한국에서의 학살’ 등이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양윤우
- 탄소 회계 규제 대응 솔루션 ‘탄소중립연구원’, 시드 투자 유치
- 완도해경, 민간해양구조대 드론수색대 간담회 개최
- “고객이 대출 상환기간 조정”…토스뱅크, ‘매달 내는 돈 낮추기’ 출시
- 대기 오염물질 잡는 LG전자, 최우수분석기관 선정
- ‘6만 개미 운명의 날’…거래소, 오늘 코오롱티슈진 상장폐지 여부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