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현대모비스.
/사진제공=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 (213,500원 ▲9,500 +4.66%)는 올해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31.9% 증가한 13조1804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이는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5.9% 늘어난 5760억원을, 당기순이익은 4.6% 늘어난 5599억원을 기록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글로벌 반도체 수급 이슈가 일부 완화되며 완성차 생산량이 회복함에 따라 모듈과 핵심부품 공급이 확대된 것이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며 “특히 친환경차에 적용되는 전동화부품 생산이 크게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글로벌 물류비 부담 같은 대외환경에도 불구하고, 제품믹스 개선과 A/S 사업의 글로벌 수요 확대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상승세를 이어갔다.

사업 부문 별로는 모듈·핵심부품 부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7.3% 늘어난 10조5960억원을 기록했다. 전동화 부품 매출은 역대 최대 규모인 2조4919억원으로 62.7% 증가했다. 전기차 생산이 늘면서 현대모비스가 이들 차량에 공급하는 구동 시스템과 배터리시스템 등 전동화 핵심부품 매출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A/S 사업도 북미와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의 글로벌 수요 증가로 3분기 2조5845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3.7% 증가한 수치다.

현대모비스는 현대차와 기아를 제외한 글로벌 완성차를 대상으로 올해 3분기까지 눈에 띄는 핵심부품 수주 성과를 기록했다. 3분기 누적 글로벌 수주금액은 33억3000만달러(한화 약 4조7000억원)로, 연간 수주 목표 금액인 37억4000만달러의 90% 정도를 이미 달성했다.

앨라배마스는 향후 북미 전동화 시장 대응을 위해 총 5곳의 전기차 전용 부품 생산거점을 신규 구축한다. PE시스템과 배터리시스템 등 총 3개 공장을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가 들어서는 조지아주 서배너에, 현재 운영 중인 앨라배마와 조지아주 공장 인근에도 각각 배터리시스템과 PE모듈 공장을 추가로 세운다. 지난 27일에는 앨라배마 주청사에서 케이 아이비 앨라배마 주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배터리시스템 공장 투자발표 행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지난 3분기 양산에 들어간 메르세데스-벤츠의 전기차 섀시 모듈 공급을 시작으로 글로벌 프리미엄 완성차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면서 해외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한결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