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태원 참사로 한국에 유학 왔던 스무 살 아들을 잃은 미국 아버지의 사연이 전해져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3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애틀랜타 교외에 사는 스티브 블레시(62)의 차남 스티븐(20)의 사망 소식과 가족들의 고통스러운 심정을 전했다.
스티브는 29일 동생으로부터 한국의 이태원 소식을 전해 듣고, 황급히 서울에 있는 아들에게 연락을 취했다. 여러 통의 전화와 문자메시지에도 아들이 답이 없자 그는 지인과 정부 관리들에게 연락을 취했고, 트위터를 통해 그의 행방을 수소문했다.
블레시 부부는 몇 시간 동안 발을 동동 굴렀지만 아들의 소식을 알 수 없었고 사람들도 그저 그가 무사하길 같이 기도해 줄 뿐이었다.
오후 11시 30분, 블레시 부부는 마침내 주한 미국대사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아들 스티븐이 이태원 참사로 목숨을 잃은 미국인 2명 중 1명이라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었다.
스티브는 큰 아들 조이를 데리러 가는 차 안에서 전화로 “1억번을 찔린 것 같다”고 말했다.
스티브는 NYT와의 인터뷰에서 “아내가 라틴인이지만 아들은 동아시아에 관련된 국제적인 일을 하고 싶어했다”며 씁쓸하게 웃었다.
아들 스티븐은 조지아주 케네소 주립대에 재학 중에 교환학생 프로그램으로 두 달 전 한국에 왔다.
스티븐은 중간고사를 끝내고 그의 친구들과 핼러윈을 즐기기 위해 이태원을 찾았다. 그의 친구들은 인파를 피해 사고 전 현장을 빠져나갔으나 스티븐은 그러지 못했다.
스티브는 “나는 사고 30분 전 아들에게 문자를 보냈다.’네가 밖에서 돌아다니는 걸 알고 있다. 안전하게 있거라’는 문자를 보내고 답장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스티븐은 모험심이 강하고 사랑이 넘치는 사람이었다. 아들을 잃은 것을 견딜 수 없다”며 비통한 심정을 전했다.

syk13@news1.kr
(서울=뉴스1) 김송이 기자
- ‘이스크림 팝니다’ 광고 본 경찰 눈썰미에 딱 걸린 베트남 마약 판매상
- 고령군 특산품 ‘쌍림 딸기’ 첫 출하…2kg들이 한 박스에 6만원
- 진안군, 1118필지 공시지가 결정·공시…11월30일까지 이의신청
- 교총, ‘이태원 압사 참사’에 “애도…또다른 희생 없기를”
- 전춘성 진안군수, 공공비축미곡 등 매입현장 방문해 격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