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오전 서울 용산구 녹사평역 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압사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에서 시민들이 헌화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10.31/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31일 오전 서울 용산구 녹사평역 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압사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에서 시민들이 헌화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10.31/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경찰이 지난 주말 발생한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주최 측이 있는 축제에선 지방자치단체와 경찰·소방·의료 등 유관기관들이 사전에 역할을 분담해 대응하지만 이번 사고는 (주최 측이 없어) 그런 부분에서 미흡했다”고 밝혔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관계자는 31일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사에서 진행된 정례 간담회에서 “이번 사고를 계기로 주최자가 없고 다수 인파가 예상되는 유사 사례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관련 매뉴얼이 마련되길 기대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공공질서 유지를 담당하는 주무부서로서 안타깝고 송구하다”면서도 “주최 측이 없는 다중 인파 행사를 대응하는 매뉴얼이 경찰에 없는 걸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찰은 적절한 매뉴얼 확보를 위해 그와 관련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또 “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 전인 2017년부터 이전까지 경찰이 핼러윈 데이 때 이태원에 30~90명으로 투입해 대처했고 이번엔 138명을 현장에 배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주로 이런 방식의 대응은 불법을 단속하거나 범죄 예방 또는 교통 소통을 위한 부분에 집중해 왔다”며 “여의도에서 열린 불꽃축제 등은 특정 시간대 1개 장소에 인파가 집중적으로 모이는 반면 이태원은 그 일대의 넓은 공간에 사람들이 일시에 집결해 경찰이 통상적인 위험을 예견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mrlee@news1.kr

(서울=뉴스1) 이승환 기자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