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봉화군 아연 광산에 매몰 사고로 221시간 동안 고립됐다가 구조된 선산부(작업반장) 박정하씨(62)가 동료들에 대한 믿음 덕분에 열흘 동안 버틸 수 있었다고 밝혔다.
박씨는 7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몸 상태에 대해 “많이 호전되고 있지만 트라우마가 조금 있다”며 “자는 도중에 소리도 지르고 침대에서 떨어지기도 했다”고 말했다.
박씨는 구조 직전 희망을 놓았던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매몰 열흘째 구조되기 직전 갱구 헤드램프 배터리가 남아 있을 때 다녀보자 해서 올라가는 도중에 헤드램프가 깜빡거리기 시작하더라. 그때부터 불안감이 밀려왔다”며 “돌아와서 같이 있던 동료한테 ‘야, 이제 희망이 없다’는 이야기를 처음으로 했다. 모든 게 다 무너지는 것 같더라”라고 했다.
이어 “그 말을 한 지 20분도 채 안 돼서 ‘발파’라고 외치는 소리가 그렇게 크게 들릴 수가 없었다”며 “진짜 사람 소리인가 하고 옆에 친구한테 소리를 들었냐 하니까 아무 소리를 못 들었다더라. 며칠 전부터 사람 발소리, 사람들이 웅성웅성 얘기하는 소리 등 자꾸 환청 같은 게 들렸기 때문”이라고 떠올렸다.
또 “발파 소리를 들었으니 일단 뒤로 좀 물러나자 해서 안전모자를 쓰고 10m 정도 후퇴하는 도중에 꽝 하면서 불빛이 보였다”며 “‘이제 살았구나’ 하면서 ‘형님’하면서 뛰어오는 (구조대 광부인) 청년과 막 부둥켜안고 물이 있든 말든 주저앉아서 엉엉 울었다”고 말했다.

경북 봉화군 아연광산 매몰 사고로 고립됐던 광부 2명이 10일만인 4일 오후 11시3분쯤 무사히 구조되고 있다. /사진=뉴스1(소방청 제공) 가장 힘들었던 부분을 묻는 말에 박씨는 “배고픔”이라며 “추위는 미리미리 준비를 해놓은 자재 덕분에 피할 수 있었는데 먹는 게 없었다”고 했다.
이어 “가지고 왔던 물이 떨어져 찾아다니다가 암벽 틈에서 뚝뚝 떨어지는 곳에 물통을 대고 물을 받았다”며 “배가 고프니까 먹을 것이 물밖에 없어 그냥 끓이지 않은 물을 먹어봤는데 저는 괜찮았지만 옆에 있던 친구는 계속 토하더라”고 했다.
진행자가 “사람들이 구조를 포기하면 어떡하나 생각은 안 들었냐”고 묻자 박씨는 “그런 생각은 한 번도 안 했다”며 “광부들은 다른 직종보다 동료애가 굉장히 강하다. 없는 사람들이 모여서 사는 조직이기에 사람다운 냄새가 질릴 정도로 나는, 끈기 있는 인간애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를 포기하지 않고 구조돼서 나가는 순간 수많은 동료가 밖에서 진짜 고생을 많이 했다는 것을 봤을 때 제가 그 동료들한테 정말 고맙다는 위로를 해 줄 정도로 눈물이 앞을 가렸다”고 했다.
박씨는 퇴원해서 하고 싶은 일에 대해 “광산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들이 당하는 사고 중 예방할 수 있는 것들이 상당히 많다. 대통령실 비서관이 (병실에) 왔을 때 광부들이 안전한 범위에서 일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부탁했는데, 저도 앞으로 그렇게 될 수 있도록 사회 활동에 접목해서 뭔가를 하고 싶다”면서 다른 광부들의 안전을 위해 일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영민
- “18세에 동거하다 임신…연상 남친, 만삭 때 아이 포기하라 폭언도”
- “12년 뒤 저는 죽어요”…서면 살인미수 피해자의 호소, 왜?
- BTS 진 “리더 RM, 똑똑해서 재수 없어”…재치 만점 입담 ‘폭소’
- 스윙, 배달 라이더 위한 공유서비스 개편…”내연 오토바이도 공유”
- 비브스튜디오스·리벨리온 맞손…”생성형 AI반도체로 메타버스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