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7일 국회에서 열린 예결위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윤동주 기자 doso7@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7일 ‘핼러윈 이태원 참사’ 실체 규명을 위해 특별검사(특검)를 도입하자는 야당의 주장에 “무엇보다 신속한 수사가 관건인 이런 대형 참사 사건의 수사에서 특별검사가 초동 수사 단계부터 수사하는 것은 진실 규명에 오히려 장애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위 회의에 참석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현 제도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투명하게 진실을 규명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검찰 수사까지 다 마친 이후 그래도 미진하다면 얼마든지 특검을 해도 좋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한 장관은 “대형 참사 사건의 수사는 특수성이 있다. 신속성이 다른 사건들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면서 “목격자 진술이 휘발성이 크고 기억이 시간에 따라 왜곡될 가능성이 있는 데다 증거가 사라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검은 개시까지 최소 몇 개월이 소요된다. 잘 아시다시피 유일한 상설특검이었던 세월호 특검의 경우 국회 의결 시부터 다섯 달이 걸렸다”며 “그렇다면 이런 대형 참사 사건의 초동 수사를 특검이 맡는 것은 진실을 규명하는 데 무리가 따른다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또한 “저도 특검 수사를 해본 경험이 있는데 특검 수사 논의가 초동수사 단계부터 올라가면 기존의 수사팀 입장에서는 수사를 계속 진전하는 게 아니라 탈 없이 특검으로 넘기는 쪽에 집중하게 된다”며 “그렇게 될 경우 정확한 진실규명에 오히려 장애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런 면에서 현 제도하에서는 제 생각에는 첫째, 경찰이 여론의 감시하에 신속한 수사를 하고 (검찰에) 송치가 되면 검찰이 정교하게 전부 다 다시 수사하는 것”이라며 “경찰도 지금 말한 우려가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수사할 거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참사 당시 경찰이 마약 범죄 단속에 집중하느라 참사를 막지 못했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선 “공직자로서 이 참사에 대한 책임감을 느낀다. 그렇지만 이런 비극을 이용해서 정치적 장삿속을 채우거나 허무맹랑한 유언비어를 퍼뜨리는 것에는 반대한다”면서 “그건 이 비극적 참사로 돌아가신 분들과 유족들, 애도하는 국민 모두에게 상처를 주는 일”이라고 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이태원 참사에 대한 국정조사를 요구하는 데 대해선 “국회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하실 부분이 있고 법무부 장관으로서 제가 말씀드릴 문제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형민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