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상필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2년 9월 국제수지(잠정)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https://cdn.issue.dcinside.com/dcissue/2022/11/08113246/psnews2016205_0_0.webp)
9월 한국 경상수지가 16억 1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되면서 한 달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하지만 흑자 규모는 1년 전과 비교해 85% 가까이 급감했다.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9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 9월 경상수지는 16억 1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지난달 이례적으로 30억 5000만달러 적자를 낸 뒤 한 달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
다만 흑자 폭은 지난해 같은 달(105억 1000만 달러)보다는 88억 9000만 달러 줄었다. 9월까지의 누적 경상수지는 241억4000만달러 흑자를 기록, 전년 동기 대비 432억 7000만 달러 축소됐다.
경상수지란 재화나 서비스를 외국과 사고 판 결과를 화폐단위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상품수지를 비롯해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수출과 수입의 격차를 의미하는 상품수지가 석 달만에 4억 9000만 달러 흑자로 3개월 만에 흑자로 전환됐다. 지난해(95억 5000만 달러)와 비교하면 흑자액이 90억 6000만 달러 감소한 수준이다. 9월에는 수출이 23개월 만에 감소한 가운데 수입은 큰 폭 늘면서 흑자 규모가 급감했다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억 2000만 달러 줄어든 570억 9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2020년 10월 이후 23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다.
품목별로 보면 석유제품 수출은 51.3%, 승용차는 34.9% 증가했으나 반도체는 5% 줄었다. 화공품과 철강제품 수출도 각각 2.7%, 16.5%씩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565억 9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8% 늘며 21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으로 원자재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원자재와 자본재, 소비재 수입이 모두 확대된 영향이다.
품목별로 보면 원자재 수입이 25.3% 늘었다. 원자재 중에서도 가스와 원유 수입이 각각 165.1%, 57.4%씩 증가했다. 자본재 수입은 수송장비(23.7%), 반도체(19.2%) 등을 중심으로 10.6% 증가했다. 소비재 수입도 13% 늘었다. 이 중에서도 곡물(38.1%), 승용차(24.2%), 직접소비재(15.7%) 등의 수입이 확대됐다.
여행·운송·지적재산권 사용료 등의 거래를 포괄한 서비스수지는 3억 4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폭은 1년 전보다 2억 8000만 달러 커졌는데, 이는 운송수지 흑자폭이 축소된 영향이 컸다.
운송수지의 경우 11억 8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수출화물운임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1년 전보다 흑자폭이 7억 2000만 달러 줄었다. 컨테이너 시황을 보여주는 대표 지수인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는 9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48.9% 떨어졌다.
임금·배당·이자 흐름을 반영한 본원소득수지는 18억 4000만 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배당수입 증가에 힘입어 흑자폭은 전년 동월 대비 7억 1000만 달러 늘었다.
이전소득수지는 3억 8000만 달러 적자를 냈다. 이전소득수지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대가 없이 주고받은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의 차이를 의미한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 순자산은 45억 9000만 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에서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47억 8000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4억 7000만 달러 늘었다. 증권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5억 달러 줄면서 2020년 3월 이후 30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외국인의 국내투자도 14억 9000만 달러 늘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해외 주식투자는 글로벌 주가 하락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감소 전환했으나, 채권투자는 4개월 연속 증가했다”고 말했다.
고현솔 기자
- 흥국생명,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예정대로 행사…4대 은행이 채권 매입
- 이재근 국민은행장 “불확실성 대응하는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
- 심병건 작가, 11번째 개인전 ‘프레스드로잉’ 시리즈 개최
- 세종대, 지능정보사회연구원 창립 기념 워크숍 개최
- 경기도교육청,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수 3년 연속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