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 시즌을 맞아 산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요즘. 그러나 날이 점점 추워지고 공기가 점점 건조해지는 가을철에는 산불 발생 가능성이 높아져 산행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요.
이에 국립공원공단은 가을철 건조기를 맞아 산불 예방을 위해 전국 19개 국립공원 탐방로 115개 곳을 오는 15일부터 한 달간 전면 통제하기로 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조한 가을철 산불 예방, ‘이것’부터 시작하세요

국립공원공단에 따르면 전면 통제되는 115개 탐방로는 산불 취약지역인 설악산 오색~대청봉 구간 등이며, 구간 총 길이는 449km인데요. 일부 탐방로 구간 28개(총 길이 253km)는 탐방여건 및 산불 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부분 통제됩니다.
산불발생 위험성이 적은 지리산 성삼재~노고단 정상 등 나머지 탐방로 472개 구간(길이 1307km)은 평상 시와 같이 이용할 수 있는데요. 통제되는 탐방로는 오늘(8일)부터 국립공원공단 홈페이지(https://www.knps.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립공원공단은 산불 예방을 위해 산불감시카메라와 탐방로 입구에 설치된 폐쇄회로 CCTV를 이용해 산불 발생 및 감시를 강화하고, 산불이 발생할 경우 신속한 진화 작업을 위해 진화차량과 산불신고 단말기를 산불취약지역 등에 전진 배치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열화상카메라 촬영기능과 음향송출 기능이 탑재된 무인기(드론)를 활용해 출입금지구역 불법산행, 소각행위 감시 · 계도 등 효율적인 산불감시 및 예방활동을 펼치고, 국립공원 내의 흡연 및 인화물질 반입, 통제구역 무단출입 등 위법 행위에 대한 단속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참고로, 국립공원에서 통제된 탐방로에 허가 없이 들어가면 최대 50만원의 과태료를, 전체가 금연구역인 국립공원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라이터와 버너 등 인화물질을 소지했다가 적발되면 최대 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피앤에스는 숫자가 아닌 사람을 남기는 회사입니다. 산을 찾는 등산객들의 한순간 부주의로 대형 산불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국립공원 내의 흡연 및 인화물질 반입, 통제구역 무단출입 금지 등 국립공원을 보전하는 기초적인 예방활동을 명심해야 한다는 사실!
- ‘청약저축 금리’, 11월 중으로 인상 – 현재 1.8%에서 2.1%로 조정
- ‘광명3구역’, 공공재개발 사업 후보지 선정 – 2,126호 주택 공급 예정
- 겨울철, ‘체온 상승’이 가져오는 마법같은 건강 효과는?
- ‘지방계약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 공사계약보증금 인하(15%→10%) 등
- 2022년 3분기 ‘전국 건축 인허가 현황’ – 인허가 · 착공 · 준공 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