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송이가 무려 1400만원에 팔린 적 있는 일본의 고급 포도 ‘루비로망’이 한국에 유출됐다며 일본이 발끈했다.
지난 7일 아사히신문은 일본 이시카와현에서 나는 고급 포도 품종 루비로망의 묘목이 한국에 유출됐다고 보도했다. 루비로망은 지난 7월 첫 경매에서 한 송이에 150만엔(약 1420만원)에 팔릴 정도로 값비싸다.
신문에 따르면 이시카와현은 지난해 8월 한국에서도 루비로망이 판매되고 있다는 한국 보도를 보고 지난 8월 직접 조사에 나섰다고 한다. 현은 서울 시내 백화점과 고급 슈퍼마켓 등 총 3개 점포에서 ‘루비로망’을 구입해 국가 연구기관에 감정을 의뢰했다.
그 결과 한국에서 판매되는 루비로망과 이시카와현의 루비로망의 유전자형이 일치했다. 매체는 생육 기간으로 미뤄볼 때 묘목 유출시기는 5년도 넘은 걸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시카와현은 농가를 상대로 묘목 관리에 대해 조사했지만 특별한 경위나 원인은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루비로망은 한 알의 무게가 20g 이상, 당도가 18도 이상인 알갱이가 굵고 단맛이 나는 특징이 있다. 1995년부터 14년에 걸쳐 이시카와현이 개발한 독자 브랜드로 2012년부터 수출이 시작됐다. 판매액은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에서 약 6000만엔(약 5억7200만원)에 달했다.
일본 총리 관저에도 납품되고 있다. 지난 8월 코로나19로 요양 중이던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먹어보고 “매우 풍부한 맛”이라고 평가했다. 2015년에는 아베 신조 당시 총리가 즙이 많다면서 “주시(juicy)”라고 표현한 바 있다.
다만 한국에서 팔리던 루비로망은 일본 현지에서 생산된 것에 비해 모양이 고르지 않고 색깔이 나쁘다고 신문은 보도했다. 한국서 팔린 포도의 당도는 16.7도로 높지만, 이시카와현이 기준으로 하는 18도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한편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UPOV)’ 협약에 따르면 출시된 지 6년 이내 신품종에 한해 다른 나라에 품종 등록을 할 수 있게 정하고 있다. 이시카와현은 출시 6년이 지나고 나서도 한국에 품종을 등록하지 않아 재배·증식을 금지하는 등의 법적인 조처를 할 수 없는 상태다.
이런 가운데 지난 9월 이시카와현은 한국 특허청에 루비로망에 대한 상표 등록을 출원했다. 만약 한국 특허청이 이를 받아들인다면 ‘루비로망’ 명칭을 사용하는 한국 농가들은 로열티(사용료)를 주고 판매 또는 수출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효주
- 경기도교육청 수능대비 ‘고교 원격수업’ 14일부터 전환
- 전남교육청 대입 수능 ‘집중 안전관리 대책’ 마련
- 한온시스템, 3분기 영업익 617억…전년比 12.5%↓
- LH, 하반기 입주고객 품질서비스 용역입찰 공고
- ‘식량난’ 개도국, 농사 짓기도 어렵다…”비료값 너무 비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