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WSJ)

한국 정부가 러시아와 싸우는 우크라이나군 지원을 위해 미국 정부에 포탄을 판매하기로 합의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사안에 정통한 미국 관리를 인용해 미국이 한국으로부터 155㎜ 포탄 10만발을 구매해 우크라이나 포병부대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10만발은 우크라이나 포병부대가 최소 수 주간 러시아와 집중적인 전투를 치르는 데 투입될 예정이다.

한국이 미국과의 비밀무기 거래를 통해 포탄을 판매하는 것은 장기화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세계적인 군수품 쟁탈전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WSJ은 지적했다.

이번 합의로 대북 억지를 위해 없어서는 안 될 핵심 동맹국인 미국을 도우면서, 우크라이나에 ‘치명적인 군사 무기를 지원하지 않겠다’는 공약을 지킬 수 있게 됐다고 WSJ은 덧붙였다.

한국 정부는 그동안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외한 방탄 헬멧, 천막, 모포 등 군수물자와 의료물자, 인도적 지원 등을 제공했지만 살상 무기는 지원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WSJ 보도에 따르면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이달 초 한미안보협의회의(SCM) 참석차 방미 중에 로이드 오스틴 장관과 만나 이러한 포탄 제공 비밀합의를 이뤘다.

우크라이나군은 지난 8월 러시아와 치열한 포격전을 벌이며 미국의 155㎜ 포탄 재고는 미 국방부가 우려할 정도의 수준으로 떨어졌다. 미 관리들은 포탄 재고가 빠르게 줄어드는 등 현재 상황이 상당히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과 미국의 포탄 제공 합의는 백악관이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 비밀 거래 정황을 포착했다는 발표가 이뤄진 뒤 나왔다.

한국의 이번 포탄 제공 역시 북한의 도발 수위 고조로 한반도 긴장이 높아지는 가운데 군사 준비 태세를 약화시킬 정도는 아니라고 미 정부 관계자들은 전했다.

주한미군도 이달 초 포탄 재고를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한미군의 한 대변인은 WSJ에 “주한미군은 일부 장비 지원을 요청받았다”면서 “이는 우리의 작전과 동맹인 한국 방어에 전념하겠다는 철통같은 약속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WSJ는 전했다.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달 이례적으로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와 탄환을 보낼 경우 한국과 러시아 관계가 파탄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조유진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1
+1
3
+1
12
+1
6
+1
1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