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가 전기차 수요 증가 등 미래자동차 환경 변화에 대응해 고객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국내에 통합물류센터를 새로 구축한다. 신축 물류센터는 국내 차량용 사후관리(A/S) 부품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친환경 시스템과 자동화 기술을 적용한 첨단 물류 거점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현대모비스는 10일 경주시청에서 ‘영남권 통합물류센터 신설 투자 양해각서(MOU)체결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이철우 경상북도지사와 주낙영 경주시장, 조성환 현대모비스 사장 등이 참석했다. 현대모비스는 통합물류센터 관련 구체적인 투자 계획을 설명하고, 경상북도와 경주시는 인허가 절차 등 행정 지원을 약속했다.
경북 경주시 명계3산업단지에 들어설 통합물류센터는 경주 외동과 냉천, 경산 등 기존 영남지역 3개 거점을 통합한 대형 물류 거점으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관련 행정 절차가 원활하게 진행되면 내년 초 착공에 들어가 오는 2024년 말에 본격 운영될 계획이다. 총 투자비는 948억원이다.
현대모비스는 영남 통합물류센터 구축으로 국내 약 1760만대의 현대차-기아 고객에게 A/S 부품을 더욱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통합물류센터는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270개 자동차 부품 생산 업체로부터 부품을 공급 받아 전국으로 배분한다. 현대모비스는 현대차·기아의 A/S부품 책임 공급 사업자로, 국내의 경우 전국 4개 물류센터와 22개 부품사업소 등을 운영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하이브리드·전기차 등 친환경차 수요 확대에 대응해 통합물류센터 내에 친환경차 부품 전용 부지도 마련할 예정이다. 미래 자동차 소비 트렌드 변화에 맞춰 안정적인 A/S 물류 거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다.
통합물류센터에 친환경 발전 시스템과 자동화 기술도 도입한다. 현대모비스는 건물 지붕 전체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가 국내 사업장 건물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RE100 목표 실현의 일환으로, 현대모비스는 오는 2040년까지 국내외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현대모비스는 통합물류센터 내에서 중소형 제품을 운반하는 로봇(AMR)을 활용할 예정이다. 현대모비스는 향후 제품의 운반 뿐 아니라 물류 입하, 저장, 분류, 출하 등에도 자동화 기술을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현대모비스는 이같은 친환경, 자동화 기술의 적용 범위를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 물류 거점으로 넓혀 나갈 계획이다.
조 사장은 “이번 통합물류센터 신축 투자는 현대차와 기아를 이용하는 국내 고객들에게 A/S 부품을 신속, 정확하게 책임 공급하기 위한 것”이라며 “전동화 등 미래차 트렌트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고객 서비스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강준
- 이마트, 3분기 매출액 7조7074억원 ‘역대 최대’…영업익은 감소
- 금융위, 예보 사장에 유재훈 전 예탁원 사장 제청
- 전기로 가져가겠다던 英기업의 변심 “韓 철강시장 치킨게임 될 판”
- “美의 가짜뉴스”…北과 무기거래 부인한 러 “제재 구실 만들기”
- 현대건설, 한국형 UAM 이착륙장 디자인 최초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