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태원 참사’ 당시 서울시가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로 재난 대응 상황을 보고한 세부 내용에 대해 공개를 미루면서 당시 제대로 된 보고를 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11일 이태원 참사 당시 서울시가 행안부에 상황 조치 내용에 대한 공개 요구에 “아직 상황을 파악 중”이라고 답했다.
앞서 행안부는 참사 당일 오후 10시53분 서울시와 용산구에 ‘압사사고 관련 상황관리 철저’를 당부하는 지시를 하달했다.
당시 지시사항에는 상황전파, 상황관리관 현장파견, 재난문자방송 송출, 인명대피 4가지가 당부 사항이 담겼다.
행안부의 지시에 대해 서울시는 당일 오후 11시27분, 용산구는 11시47분 관련 보고를 행안부에 보냈다.
하지만 당시 서울시와 용산구의 보고 내용이 소방청이 보고한 내용을 단순히 옮겨 붙인 수준이었고 자체적으로 조치한 내용이 담기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보고 내용 전체를 공개하라는 요구가 계속됐다.
특히 이태원 참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의 브리핑에서는 지난 7일부터 서울시와 용산구의 보고 내용이 무엇인지 확인해 달라는 기자들의 질문이 계속해 쏟아졌다.
이에 대해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지난 10일 중대본 브리핑에서 “저희가 보고를 받았기 때문에 관련 내용을 가지고는 있지만 근데 이 부분을 공개할지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 공개할지 이 부분은 보낸 기관의 또 입장도 있고 의견도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은 서울시하고 논의를 했습니다만 아직까지 그런 부분에 대해서 협의가 완료된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서울시가 공개를 원하지 않아 해당 내용을 발표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중대본에서는 서울시 담당자에서 중대본 브리핑에 출석을 요청했으나 서울시는 이에 응하지 않았다.
이후 중대본에서는 재차 관련한 내용을 서면으로라도 중대본에 제출해 달라고 하자 시는 ‘답변을 작성해 제출하겠다’고 약속한 뒤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
이후 11일 서울시는 행안부 출입 기자단에게 “향후 이 사안과 관련한 언론 등 모든 대응은 서울시에서 담당할 계획이니 서울시로 연락해 달라”는 공지를 통보했다.
하지만 공지 직후 시가 안내한 번호로 전화를 걸어도 담당자와 연결되지 않고 끊어졌다. 이후 개인전화로 연락이 닿은 서울시 관계자는 “아직 상황 파악 중이다. 죄송하다”는 답변만 반복했다.
이미 중대본 브리핑에서 여러 차례 관련한 질의가 있었고 서울시에도 관련한 문의가 이미 전달된 상황에서 시가 차일피일 답변을 미루는 것에 대해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반응이 나온다.
심지어 행안부가 ‘보고 내용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 상황에서 시가 ‘내용을 파악 중’이라고 답변한 것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시가 답을 미루면서 당일 조치가 미흡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만 커지고 있다.
potgus@news1.kr
(서울=뉴스1) 박동해 기자
- ‘선거법 위반’ 혐의 우범기 전주시장 검찰 조사…”조만간 기소 여부 결정”
- 충남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산 저지에 집중
- 6세아 친 오토바이 “죄송” 외치며 도주…”처벌 불가” 왜? [영상]
- 코로나 생활치료센터 모두 문닫는다…마지막 센터 이달말 종료
- 서울 도심 내일 또 대규모 집회…세종대로·을지로 등 교통혼잡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