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이 지난 9월 플래그십(최상위) 스마트폰 아이폰14 시리즈 출시 이후 중국에서 7주동안 판매량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중국은 1차 출시국으로 분류돼 9월16일부터 신제품을 판매했다. 10월7일 정식 출시한 한국보다 일찍 제품을 선보인 것.
16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아이폰은 지난 9월12일부터 10월30일까지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경우 출시 첫주 1위에 올랐지만, 그후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 시즌인 ‘광군제'(매년 11월11일) 영향으로 상당 기간 2위에 머물렀던 것과 비교하면 상황이 달라진 것.
통상 중국 ‘광군제’ 기간에는 중저가 휴대전화의 판매량이 늘면서 애플의 점유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올해는 아이폰이 광군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가장 최근인 올해 10월24일부터 같은달 30일까지의 비중은 29%였다. 중국 소비자 10명 중 3명이 애플 제품을 산 격. 다음은 △비보(16%) △아너(15%) △오포(13%) △화웨이(10%) △샤오미(9%) 순이다.
7주간 집계된 판매량을 살펴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 증가했다. 당시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전체가 15% 역성장한 것과 비교하면 크게 성장했다고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측은 설명했다.
중국의 ‘제로(0) 코로나’ 봉쇄 정책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시장 전체는 감소했지만, 고가의 아이폰은 그 영향을 덜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강민수 카운터 포인트 리서치 연구원은 “애플의 중국 고가 시장에서의 지배적인 지위는 화웨이의 부재·타 브랜드의 고가 영역 진출 제한 등으로 인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경제적 충격에 민감하지 않은 해당 시장에 대한 지배력을 바탕으로 전체 중국 스마트폰 시장내에서의 점유율 또한 점진적으로 늘려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한편 애플은 중국 스마트폰 시장 3분기 기준으로는 점유율(15.3%) 4위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2.8%포인트(p) 올랐다. 1위는 비보(19.9%)였고, △오포(18%) △아너(17.2%) △샤오미(9%)가 뒤를 이었다.
woobi123@news1.kr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부고] 이도영씨(KBS제주총국장) 부친상
- 조희연 “3년 내내 방역에 동참한 수험생, 기특하고 대견”
- 대통령실 “한일정상, 강제징용 속히 매듭짓자 분위기…해법 좁혀져”(2보)
- 한림읍 저수지 야생조류 분변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검출
- 배드민턴 안세영, 호주오픈 단식 16강행…허광희도 1회전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