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정디자이너 /사진=김현정디자이너
김현정디자이너 /사진=김현정디자이너

우리나라 국민 2명 중 1명은 결혼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응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는 결혼자금 부족을 손꼽았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결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은 50.0%로 나타났다. 2년 전보다 1.2%포인트(p) 감소했다. ‘결혼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는 43.2%, ‘하지 말아야 한다’가 3.6%였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절반 이상인 55.8%가 결혼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여자는 44.3%만이 이같이 답했다.

연령 별로 결혼해야 한다는 응답 비중을 보면 10대(13∼19세)는 29.1%, 60대(60세 이상)는 71.6%로 연령이 올라갈수록 결혼해야 한다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결혼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결혼자금 부족'(28.7%), ‘고용 불안정'(14.6%) 등 경제적 이유가 가장 많이 꼽혔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결혼자금 부족 다음가는 이유로 ‘고용상태의 불안정'(16.6%)을 꼽았다. 여성은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5.0%)를 선택해 차이를 보였다.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65.2%로 나타났다. 그간 동거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은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여왔지만 이번에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비혼 출산 찬성 응답자는 34.7%로 직전 조사인 2020년보다 4.0%포인트(p) 증가했다. 이 항목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8.5%p 더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전국 약 1만9000 표본 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인구 약 3만6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 11일부터 26일까지 16일 동안 진행됐다.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