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실시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1교시 국어는 ‘역대급 불수능’이었던 지난해 수능 국어에 비해서는 조금 쉽게 출제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대학입시상담교사단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어 출제 경향 분석 브리핑에서 “난도가 높았던 2022학년도 수능 국어에 비해 조금 쉽게 출제됐다”며 “(난도는) 9월 모의평가와 유사하다”고 밝혔다.
대교협 교사단은 “최근 국어 영역 출제 경향을 그대로 유지했다. 지문 길이는 과거에 비해 조금 짧아졌지만 정보량이 많고 학생들이 문항을 통해 추론하도록 해 학생들의 대학 수학 능력에 필요한 사고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창묵 경신고 교사는 “최상위권에서는 예년보다 난도가 다소 하락한 것으로 추정하지만 국어의 전체적인 지문 난도가 낮아지고 문제가 쉬워졌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최상위권 변별력은 다소 하락할 수 있지만, 중상위권에서는 여전히 국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변별력도 예년과 유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교사는 “최상위권에서 국어 변별력이 다소 하락한다면 타 영역 비중이 다소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김 교사는 “지난해 수능에서 1등급 기준점수와 표준점수 만점의 구간이 17개 구간으로 (기준점수가) 132점, 만점이 149점으로 추정된다. 반면 9월 모의고사에서는 129점에서 140점으로 분포해 지난해 수능에 비해 1등급 내 표점 분포 구간이 다소 줄었다”며 “지난해 수능 표준점수 분포보다는 다소 줄어서 거의 9월 모의평가의 최상위권 표점 분포가 될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김용진 동국대사대부속여고 교사는 “기초대사량을 다룬 과학지문의 17번 문제가 가장 어려운 문제로 볼 수 있다. 사회영역 12번 문제가 그다음으로 어려운 문제가 될 텐데 그렇다고 해도 작년, 재작년 수능의 가장 어려웠던 문항보다는 좀 더 쉽다”고 밝혔다.
김 교사는 “EBS 연계율은 50% 이상으로 학생들이 EBS를 충분히 공부했다면 잘 풀 수 있는 지문으로 구성됐다”며 “인상적인 문제는 과학지문 중 클라이버의 기초대사량 연구를 다룬 지문인데, 제시문에 나온 최소제곱법 등은 EBS 사회지문에서 활용됐던 소재”라고 말했다.
김 교사는 “화법과 작문은 전통적으로 난도 자체가 어렵지 않지만, 제시되는 대화·발표 길이가 있어 시간 부담을 느낄 수는 있다”며 “이번 시험에서 화작 42번 문항이 그림과 연결하는 형태로 발상이 과거에 없었던 새로운 유형이었다”고 밝혔다.
진수환 강릉명륜고 교사는 “언어와 매체는 연계교재에서 다뤄졌던 원리가 출제돼 크게 어렵지 않았을 것”이라며 “정보량이 많기는 했지만 전체적 난도는 높지 않았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yos547@news1.kr
(서울·세종=뉴스1) 이호승 기자, 서한샘 기자
- 제천 중앙로 건축자재점포 화재…인근 모텔로 번져 투숙객 긴급 대피
- 박병호도 떠난 키움, ‘KS 제외’ FA 한현희-정찬헌 붙잡을 수 있을까
- ‘김민정 재혼 남편’ 신동일 “암 투병에 실명…아내 얼굴 안 보인다”
- “육사 총동창회 충남이전 반대는 집단엘리트주의” 범도민추진위 성명
- 해남군 문화예술회관 ‘아름다운 화장실’ 국무총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