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여당 간사인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한국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카카오 먹통 사태와 관련해 의사 진행 발언을 하고 있다. 2022.10.17/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여당 간사인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한국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카카오 먹통 사태와 관련해 의사 진행 발언을 하고 있다. 2022.10.17/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은 18일 당내에서 기업들이 MBC 광고를 중단해야 한다는 취지의 주장이 나온 것과 관련해 “더 공영방송을 하라. 이런 차원의 무언의 압력”이라고 해석했다.

박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광고를 완전히 끊겠다, 그런 차원이겠는가?”라고 반문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상훈 비대위원은 전날 비대위회의에서 “MBC를 편파·왜곡방송으로 규정하고 MBC 광고기업제품 불매운동에 동참, 서명한 사람들이 33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며 “이분들은 사회적 기업이자 국민기업인 삼성 등이 MBC에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즉각 중단해야 하고 이는 선택이 아닌 의무라고 역설한다. 공영방송을 자처하는 MBC와 광고주들은 귀를 기울여야 할 대목”이라고 발언해 논란이 됐다.

박 의원은 이에 대해 “MBC는 정부의 여러 혜택을 받는 공영방송인데 지금까지 공정하게 방송을 했는지 자문해 달라는 말을 하고 싶다”며 “MBC는 완전히 민노총에 의해 운영되는 ‘노영방송’이다. 100여 명이 넘는 부장급 이상이 있지만 민노총 출신이 아닌 사람은 한 사람밖에 없고 보도국은 전부 그쪽(민노총) 출신”이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광고 중단’ 발언이 유신 독재시절 ‘동아일보 광고 탄압 사태가 떠오른다’는 질문에 “그것과 같이 비교하는 것은 무리”라며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도 취재 봉쇄라든지 기자실에 대못질하겠다는 이야기를 했다. 문 전 대통령도 2018년 남북 고위급 회담 1시간 전에 조선일보 기자를 오지 말라고 취재 배제를 통보한 사실도 있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문재인 정부 때는 문 대통령, 김정숙 여사나 가족들에 대한 방송, 조국에 대해서도 박원순에 대해서도 이재명에 대해서도 별로 방송을 안 했다”며 “그런데 대선 전, 대선이 끝나고 나서 (윤석열) 대통령과 배우자에 대해 너무 방송을 하기 때문에 공영방송이라고 하기에 부끄럽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방송은 사회적 ‘공기’가 돼야 하는데 사회적 ‘흉기’가 되고 있기 때문에 MBC를 상당히 안 좋은 시선으로 보고 있다”고 MBC를 비판했다.

최근 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에 MBC 기자의 대통령 전용기 탑승을 제한한 것을 두고는 “미국 순방 때 자막 조작이라든지, 백악관에 이메일을 보내 한미관계를 교란했다든지, 대통령 배우자에 대해 고지 않고 편파 방송을 했다든지 여론 선동을 하는 MBC에 사회적 경종을 울려야겠다는 차원에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서울지방국세청이 분식회계, 법인세 누락 등을 이유로 MBC에 520억을 추징한 것을 두고는 “MBC가 주인이 없고 견제 기간이 없다. 그러다 보니 방송을 자기들이 독식하고 자기들이 잔치하는 형태로 돼 있다”며 “한번은 정상화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pkb1@news1.kr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4
+1
0
+1
1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