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 LG화학이 약 4조원을 투자해 미국 최대 규모의 배터리 양극재 플랜트를 건설한다. IBK투자증권은 23일 LG화학에 대해 목표주가 9만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LG화학은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2025년 말부터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연산 12만톤 규모의 양극재 생산능력을 확보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LG화학의 양극재 총 생산능력은 올해 9만톤 규모에서 2027년 38만톤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IBK투자증권에 따르면 LG화학은 양극재 증설 및 분리막 연결 실적 반영으로 전지소재 매출액이 올해 5조원에서 2027년 20조원(기존 계획 2030년)으로 4배 성장할 전망이다.
이동욱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인근 태양광·수력 등 100% 재생에너지(TVA 에너지 접근성)로 플랜트를 가동할 계획이며 미국 양극재 플랜트 근처에는 Ultium Cells 등 주요 고객사 등이 위치해 있다”면서 “주정부 및 지방정부로부터 설비와 토지에 대한 재산세 감면 혜택 등도 받을 전망이다”고 말했다.

LG화학의 석유화학 부문은 매출액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ABS(아크릴로나이트릴, 뷰타다이엔, 스타이렌) 부문에서 중국의 ABS 증설 확대로 수익성 둔화가 예상된다.
그는 “중국의 증설은 대부분 ABS 수요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범용 등급”이라며 “LG화학의 ABS는 추가 운임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복제하기 어려운 특별한 노하우 등이 필요한 특수 등급의 비중이 커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LG화학은 현재 1700톤의 CNT(탄소나노튜브) 생산능력을 2024년까지 6100톤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연구원은 “세계 CNT 시장이 배터리향 수요(양극·음극·리튬황·전고체 등) 증가로 지난해 5000톤 규모에서 2030년 7만톤으로 확대되며 매년 34% 이상 성장할 것”이라며 “유도체 사업 및 SWCNT(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진출 여부 등에 따라 향후 실적과 가치가 급격히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박상철 기자 gmrrnf123@infostock.com
박상철 기자
- LG유플러스, 내년 유무선 부문 성장 기대…목표가 유지
- 금융위 “중금리 대출 공급 P2P 중요…온투법 제도 개선 논의”
- “올해 마지막 금통위서 베이비스텝…내년 연말 최종금리는 3.75% 전망”
- KT, DIGICO 사업 고도화 단계 진입…“미래 성장동력 본격화”
- SK텔레콤, 내년 이익 성장 지속 전망…“5G 점유율 확대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