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총파업) 사태가 11일째 접어든 4일 정유 대란이 확산세다. 피해가 산업계 전반으로 확대하면서 정부는 정유업계에 대한 추가 업무개시명령도 검토하고 있다.
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화물연대 조합원 약 2900명은 전국 13개 지역 130여개소에서 집회 및 대기 예정이다. 파업 규모는 1주 전인 지난달 27일(4300명)의 67% 수준으로 줄었다.
이날 오전 10시 기준 전국 12개 항만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1만2082TEU(1TEU=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로 집계됐다. 평시(3만6824TEU) 대비 33% 수준으로 급감했으나, 업무개시명령 발동 이후 항만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증가세다.
반출입량 규모가 가장 큰 부산항은 이날 오전 1만862TEU로 1주 전의 187% 수준까지 증가했다. 다만 평시와 비교하면 42%로 여전히 낮았다.
정유업계 피해는 확산세다. 휘발유와 경유 등 재고가 품절된 주유소는 수도권뿐 아니라 충남, 강원, 충북 등으로 확대돼 나타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2시 기준 전국 품절 주유소는 총 74개소다.
이에 정부는 정유업계에 대한 추가 업무개시명령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오후 대통령실 주재로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 화물연대 총파업 관련, 상황 점검과 대응책 마련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 ‘겨울이면 급증’ 코로나 공식 깨져…유행 있어도 ‘공포’는 없다
- ‘싱어게인2’ 우승자 김기태, 오늘 신곡 ‘계절을 돌고 돌아’ 발매
- 전남 가금농장 9곳서 AI 발생…7곳이 고병원성 방역 ‘비상'(종합)
- ‘3점슛만 25개’ 골든스테이트, 휴스턴 꺾고 2연승
- 제주 김창열미술관, 내년 2월까지 김창열 화백 추모전 ‘시선’ 개최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1
+1
4
+1
3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