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출기업 세 곳 중 한 곳은 작년에 비해 올해 자금사정 악화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향후 6개월 이내에 자금조달 사정이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매출 1000대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자금조달 사정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지난해 대비 현재의 자금조달 사정에 대해 조사 기업의 29%는 악화됐다고 응답해, 원활하다는 응답(18%)보다 11%p 높았다.
특히 철강(50%)과 일반기계(44.5%), 자동차(33.3%) 업종은 전년 대비 자금사정이 악화된 기업의 비중이 전 업종(29%)보다 높았다.
전경련은 “이들 업종은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침체, 고환율‧고물가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 등 경영환경 악화에 대출 금리까지 계속 오르며 자금조달 부담이 특히 가중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내 수출기업 10곳 중 9곳은 향후 6개월 이내에 자금조달 사정이 개선되기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당분간 개선되기 어렵다’는 응답이 42%를 기록했다. 이어 내년 4분기(25%), 내년 3분기(23%) 순이었다.
반면 내년 상반기 안에 자금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비율은 내년 1분기(7%), 내년 2분기(3%)에 불과했다.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금조달 방식은 은행 대출(43.4%), 내부자금 조달(21.4%) 회사채 발행(14.3%), 정부 지원금(14.0%)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5%)이 현 자금조달 상황에 가장 부정적인 요인으로 ‘은행 대출금리 상승’을 지목했다.
기업들은 안정적인 자금조달 환경 조성을 위해 정부가 우선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로 ‘금리인상 속도 조절'(25.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정책금융 지원 확대'(18.3%), ‘장기 자금조달 지원'(18.0%)도 주요 과제라고 지목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단기자금시장 경색 상황이 쉽게 풀리지 않고 기업대출 금리 상승폭이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상황에서 금리‧환율‧물가 등 3중고를 겪고 있는 우리 수출기업들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며 “대내외 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금리인상에 신중을 기하는 동시에 일시적으로 자금경색에 놓인 기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주호영 “서훈이 신뢰 자산? 文 전 대통령 제발 정신 차리시라”
- 서산창작예술촌, 내년 상반기 건축물 철거 후 새로 짓는다
- 조폐공사 ‘일월오봉도 기념메달’…‘로열 시리즈’ 마지막 작품
- 한국공항공사, 국내 공항 최초 제주공항에 다회용 컵 전용카페 도입
- 목포시, ‘SRT 어워드’ 선정 올해 최고의 여행지 10곳에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