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G유플러스의 부스 조감도. /사진=LG유플러스 |
LG유플러스 (12,050원 0.00%)는 ‘2022 조선·해운·항만 디지털전환 국제 컨퍼런스’에 참가해 자사 항만 디지털트윈 및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소개한다고 5일 밝혔다.
울산광역시가 주최하고 울산항만공사와 울산정보산업진흥원,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이 행사는 자율운항 및 스마트항만을 선도하는 국내 기술력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행사는 6~7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다.
LG유플러스는 울산항만공사의 초청을 계기로 참가했다. 양측은 지난 7월 국내 최대 액체물류 허브 항만인 울산항을 ‘에코 스마트항만’으로 조성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부스 운영을 통해 LG유플러스는 스마트항만, 스마트팩토리, 환경·안전 솔루션, 기업전용망 총 4개 분야의 상품과 기술을 전시한다.
먼저 항만의 실제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 3D 가상 세계를 만드는 ‘항만 디지털트윈’의 경우 최근 구축이 완료된 부산신항의 사례를 영상으로 제작, 운영장비 및 차량을 실시간 관제하는 시뮬레이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분야는 공장 내 설비의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모터진단’, AI(인공지능)가 정상적인 생산라인을 학습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생산라인 이상감지’ 등으로 구성됐다.
또 5G 전용망, 5G 동글 등 스마트팩토리 구현에 기본이 되는 솔루션을 비롯, 작업자의 안전을 지원하는 지능형 CCTV나 공사 현장에서 중대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장구 4종(스마트헬멧·안전고리·안전벨트·안전비콘) 등도 전시될 예정이다.
권근섭 LG유플러스 스마트팩토리사업담당은 “우수한 기술들이 집결되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LG유플러스의 스마트항만·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선보일 수 있어 큰 자부심과 책임감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울산항만공사와의 탄탄한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울산항을 발전시키는 것은 물론, 국내 항만 솔루션을 해외에 알리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10시 시황 해설자들] 2023년 전망, 침체는 한 번만 오지 않는다
- 대작출시 줄줄이 연기, 게임업계 “경직된 주 52시간제 개선해야”
- 삼성전자·현대차 광고 도배한 대한항공 ‘항공기’ 뜬다
- 디지털 성범죄 지역특화상담소 확대..상담·의료·법률 지원
- 특수본, 용산보건소장 추가 입건…현장 도착시간 조작 의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