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운전
음주운전 사고 및 음주운전 사망사고 연령대별 발생현황(’17~’21년) /제공=도로교통공단

음주운전 교통사고가 ‘불금’인 금요일밤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도로교통공단은 최근 5년간 음주운전 교통사고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금요일 밤인 오후 10시부터 자정 사이에 음주운전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고 22일 밝혔다. 또 30대 운전자들이 음주운전 교통사고를 가장 많이 발생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17~2021년) 발생한 음주운전 교통사고는 총 8만6747건으로, 1573명이 사망하고 14만3993명이 다쳤다. 전체 교통사고에서 음주운전 교통사고가 차지하는 비율은 8.1%로, 전국에서 하루 평균 약 48건이 발생했다.

특히 주말이 평일(월~금)보다 일평균 28.0% 사고가 더 많았으며, 주중에는 주 초반보다 주 후반인 금요일로 갈수록 사고가 늘어났다.

전체 교통사고는 40~50대 운전자가 많이 발생시켰는데, 음주운전 교통사고는 30대 운전자가 가장 많았다.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망사고는 20대 운전자가 가장 많았다.

술을 마시게 되면 공간지각능력과 반응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만큼 운전 시 추돌사고의 위험이 커지는데, 전체 차대차 사고에서 21.1%를 차지한 추돌사고율이 음주운전 교통사고에서는 46.6%로 높아졌다.

도로교통공단 고영우 교통AI빅데이터융합센터장은 “음주 약속이 많은 연말연시는 음주운전 유혹에 빠지기 쉬운 시기로, 특히 한 주의 긴장이 풀리는 금요일 밤은 음주운전에 대해 더 큰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날 밤 과음은 다음날 오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아침에는 직접 운전을 지양하고, 무엇보다 사회적으로 음주운전은 범죄행위라는 인식이 확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