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8만1056명 발생한 3일 오후 서울 광진구 코로나19 거점 전담병원인 혜민병원에서 의료진이 업무를 보고 있다.2022.1.3/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
지난해 국민 55.1%는 1번 이상 병의원 외래 진료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적으로 이 진료를 받기 위해 기다린 시간은 16분, 진료 시간은 8.9분으로 각각 집계됐다. 반대로 외래 진료나 입원 치료를 한 번도 받지 않은 국민은 44.2%였다.
19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2022 의료서비스 경험 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기간 1년간(2021년 7월~2022년 6월) 병의원 외래 진료를 받았다고 답한 비율은 55.1%로 전년(54.1%)보다 1%p(포인트) 상승했다.
입원 비율은 1.5%로 전년(1.6%)보다 0.1%p 하락했고 입원 환자 중 코로나19 치료 목적은 8%로 전년(10.4%)보다 2.4%p 떨어졌다. 40대 이상부터 의료 이용률이 절반 이상이었고 60세 이상은 78.3%가 외래 진료 경험이, 2.9%가 입원 경험이 있었다.
교육 수준과 가구 소득이 낮을수록 이용률이 높아졌다. 초등학교 졸업 학력 이하의 외래 이용률은 86.9%, 입원은 5.2%였다. 가구소득이 낮은 집단(1분위)의 외래 이용률은 65.1%, 입원율은 2.5%로 소득 집단 중 가장 높았다.
외래 진료를 받기 위해 접수를 한 뒤 기다린 시간은 평균 16분, 평균 외래 진료 시간은 8.9분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대기 시간이 30분 이상이었다는 응답률은 14.2% 있었고, 진료 시간이 1~5분이었다는 응답률도 49.2%로 비교적 많았다.
예약하지 않고 당일 진료 받은 경우는 69.9%였고 원하는 날로 예약해 진료를 받은 경우는 29.3%였다. 15~19세와 20~29세의 예약진료 비율이 각각 31.6%, 30.2%로 상대적으로 예약 진료를 많이 이용했다.
입원 환자의 평균 입원 일수는 7.2일로 전년 6.3일보다 늘었다. 코로나19 치료 목적 환자의 입원 일수는 8.8일이었다. 입원은 당일이 33.4%, 원하는 날 예약 후 입원이 59.7%였다.
원하는 날을 잡지 못해 대기 예약을 한 입원 환자는 7%, 대기 기간은 평균 14.7일이었다. 다만 보고서는 “코로나19 유행에 따라 병상 수급이 일정하지 않고, 일반 입원의 수요 변동이 있었던바, 대기 여부와 기간 변화에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입원 환자 중 39.2%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했고 8.4%는 개인 간병인을 고용했다. 개인 간병인을 고용한 경우는 평균 5.1일을 고용했고 일평균 10만1207원을 지불했다.
외래 진료와 치료 결과에 만족했다는 응답은 91.5%, 입원에 대한 만족도는 93.1%로 의료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코로나19 유행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감염 불안감을 느낀다는 비율은 34.7%로 전년 31.2%보다 3.5%p 올랐다.
![]() |
2022 의료서비스 경험 조사 주요 내용/보건복지부 제공 |
우리나라 보건 의료제도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70.3%, 만족한다는 응답은 72.6%로 조사됐다. 제도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데 대해 48.7%가 동의했다. 구체적으로 의료취약계층 의료지원 강화(73.5%), 의료취약지 지원 강화(77.2%) 등을 요구했다.
또한 공공의료기관 확대와 기능 강화(74.6%), 환자 의료비 부담 완화(67%), 환자의 대형병원 쏠림 현상 방지(70.4%) 등의 답변도 있었다. 이외 비급여의 급여화, 치과급여 확대, 건강보험료 인하 등에 대한 요구도 있었다.
건강 수준을 묻는 문항에는 76.7%의 응답자가 현재 자신의 전반적인 건강이 좋은 편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반대로 나쁜 편이라는 응답자는 4.4%로 조사됐다. 이밖에 1년간 주요 만성질환으로 진료받은 경험이 있다는 사람은 22.8%로 집계됐다.
정부는 국내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부터 의료서비스 경험 조사를 하고 있다. 지난해 조사는 전국 7000가구의 15세 이상 1만6466명(남성 7782명·여성 8684명)을 대상으로 태블릿을 활해 면접방식으로 이뤄졌다.
ksj@news1.kr
- 교통사고 내고 음주측정 거부한 공무원 벌금 1000만원
- 포항에 1400원대 경유 판매 주유소 등장…남·북구 총 4곳
- 통일부 “北 책임 전가에 개탄… 도발·위협 중단해야”
- 대전 스페이스 테미 그룹전 ‘오래된 미래’
- “청년이 사라지고 있는 전북, 새로운 관광인재 육성방법은?”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1
+1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