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03회 국회(임시회) 제8차 본회의에서 국회의원 이재명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찬성139표, 반대138표, 기권9표, 무효11표로 부결되고 있다. 2023.2.27/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국민의힘은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진행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에 대해 “정치적 사망선고”라고 평가했다.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 체포동의안 부결 결과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존망을 걱정하는 민심이 고스란히 반영된 결과”라며 “사실상의 체포동의안은 처리된 것이나 다름없다고 생각한다. 민주당 대표에 대한 정치적 사망사고가 내려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를 열고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을 재석 297명, 찬성 139명, 반대 138명, 기권 9명, 무효표 11명으로 부결했다. 이날 표결에 참석한 의원은 297명으로, 149명이 찬성해야 가결되지만 10표 모자라면서 최종 부결됐다. 민주당에서 무더기 이탈표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정 위원장은 “다수 의석을 앞세워 호언장담을 해왔기 때문에 무난한 부결을 예상한 분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결과는 정반대”라며 “이 대표는 국민 앞에 옷깃을 여미면서 자신이 지금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를 스스로 판단하고 결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체포동의안은 부결됐지만 민심은 승리했다. 이 대표는 지금 즉시 당 대표직을 내려놓아야 한다”며 “오늘의 결정이 얼어붙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에 새봄을 불러오는 야생화의 꽃망울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부결을) 예상했지만 민주당이 거듭 불의의 길을 선택한 것은 진실로 개탄스러운 일”이라며 “오늘의 표결 결과는 민주당에 아직도 공당으로서 의무감과 양심이 일부는 살아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주 원내대표는 “적지 않은 민주당 의원들이 당론에 반해 체포동의안에 찬성하거나 기권표를 던졌다”라며 “비록 부결됐지만 이 대표에 대한 사실상의 불신이고, 사실상 가결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권성동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제 2월27일은 국회 ‘방탄절’이라고 불러야겠다. 기어이 민주당은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을 부결시키고 말았다”라며 “이 대표와 민주당 지도부는 오늘을 기억하길 바란다. 가까스로 방탄에 성공했지만 이것은 몰락의 시작이기도 하다. 방탄의 길 끝에는 정치적 옥쇄만이 있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박수영 의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체포동의안에 대한 국회 투표에서 민주당 이탈표가 37표나 나왔다”라며 “오늘의 결과는 상식적인 국민이 이 대표에게 정치적인 사망선고를 내린 것과 다름없다.온갖 비리와 부패를 막던 겹겹의 방탄이 순식간에 허물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전당대회 당권주자들도 체포동의안 부결을 두고 이 대표를 압박했다.

김기현 후보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 대표의 벼랑 끝 몸부림이 사실상 실패했다. 형식적으로는 부결됐지만 실질적으로는 이미 봉고파직이 된 것”이라며 “이 대표가 그토록 간절하게 매달렸던 호위무사들도 이제는 주군을 버렸다. 장수로서 알량한 자존심이 조금이라도 남아있다면 이제는 무대에서 그만 내려오길 바란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오늘 표결은 역사상 가장 부끄러운 불체포 특권 남용 사례로 기록될 것”이라며 “마땅히 끊어내야 할 때 끊지 못하면 도리어 어지러운 일이 일어난다. 연극은 이제 끝났다”라고 말했다.

안철수 후보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불체포특권을 포기하고 영장실질심사를 받아야 한다. 본인이 결백하다고 주장했으면 영장실질심사를 받아야 하는 것”이라며 “표결 결과를 바탕으로 삼아 그렇게 결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에 개혁 법안을 통해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을 없애는 결의안을 제안했다”며 “이제 구시대 유물로 지나가고 국회의원도 더이상 불체포특권의 특혜를 받는 것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하람 후보는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민주당이 이재명 대표의 손아귀에서 해방되기를 선택했다. 결과는 부결이지만 예상을 뒤엎고 수십표의 반란표가 쏟아졌다”며 “이제 우리 차례다. 국민의힘도 개혁의 길로 나서야 한다. 민심의 바다로 과감하게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asd123@news1.kr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2
+1
0
+1
1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